3.144.42.196
3.144.42.196
close menu
KCI 등재
‘두 개의 운동’으로서의 천성산 터널 반대운동: 종교시민운동 축의 복원과 시민환경운동과의 관계 분석
Anti Chunsungsan Tunnel Movement as Two Movements: The Axis of the Civil Movement of Religion and Its Relation with the Civil Environmental Movement Axis
이시윤 ( Lee Si-yoon )
DOI 10.17207/jstc.2018.3.21.1.169
UCI I410-ECN-0102-2018-300-003972467

본 연구의 목적은 천성산 터널 반대운동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누락되어 온 종교 변수를 복원하고,이를 통해 이 운동이 ‘시민환경운동’과 ‘종교시민운동’이라는 이질적인 두 축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뜻에서 ‘두 개의 운동’이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필자는 먼저 이론적으로 기존의 사회운동이론에 종교사회학적 통찰력을 적용했을 때 개념상 시민 환경운동과 종교시민운동을 분리해서 볼 것이 요구됨을 주장하였다. 이 개념을 적용하여 다양한 집합 행동 목록과 언론에 노출된 기사 수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2002년-2003년 사이 천성산 터널 반대운동을 이끈 것은 불교 교단에 의한 종교시민운동이었고,이후 2003년-2004년에 걸쳐 시민환경운동이 보다 확대되는 과정에서 종교시민운동이 급격히 퇴조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필자는 이어서 불교환경내러티브에 대한 질적인 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가 같이 결론지었다. 운동 초반 불교 공동체의 적극적인 헌신은 사찰환경수호가 곧 보편적인 환경보호의 실천이라는 강력한 자기화 내러티브의 성립에 의해 가능했고,이 시기에는 종교시민운동이 시민환경운동을 자극하고 고취시키는 역할을 수 행했다. 이후 2003년 중반에 접어들어 지율의 잇따른 단식투쟁과 이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이 격화되면서 시민환경운동은 더욱 확대될 수 있었던 반면 불교환경내러티브는 유지되지 못했고, 그 결과 종교시민운동은 소멸하고 말았다. 마지막으로,필자는 이 사례가 공공영역에서 독립변수로서의 종교의 역할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cover the religious variable which is ignored by the previous researches dealing with the anti-Chunsungsan tunnel Movement and to show that this movement was constituted by the mutually disparate axes, the civil-environmental movement and the civil movement of religion, thus the movement could be called as two movements. For this, I firstly argued that these two movements should be approached separately in theoretical term when we graft the social movement theory with the insight of sociology of religion. In application of this conception, I analyzed the quantitative data of collective action list and media exposure, and the qualitative narratives of the participants. In result, I found the causally connected two different mobilization curves and figured out that, at the early stage of movement, whole movement’s central dynamic force was provided by the Buddhist group and they were driven and by their peculiar environmental narrative. Finally, I tried to evaluate the implication of this case in the context of discourse on the role of religion in the public sphere in secularized modern society.

Ⅰ. 왜 다시 천성산 터널 반대운동인가?: 종교 변수의 누락 문제와 세속화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 방법
Ⅲ. 두 개의 운동: 시민환경운동과 종교시민운동의 동원 구조에 대한 분석
Ⅳ. 두 개의 운동의 역학과 불교환경 내러티브의 역할
Ⅴ. 두 개의 운동: X자형 동원곡선의 역학관계와 운동성격의 변화
Ⅵ.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