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213.235
18.119.213.235
close menu
KCI 등재
부마민주항쟁시기의 한국경제와 지역사회의 여건
Conditions of the Korean Economy and the Community during the Pusan-Masan Democratic Struggle
정승안 ( Jung Seung-an )
DOI 10.17207/jstc.2018.6.21.2.189
UCI I410-ECN-0102-2018-300-003972376

부마민주항쟁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은 지역적인 정체성의 재구성작업이며, 기억을 둘러싼 투쟁의 장이다. 사건사로서의 부마민주항쟁 당시의 논의와 더불어 사회경제적인 배경들을 엄밀하게 살펴봐야 하는 이유이다. 결과적으로 부마민주항쟁에 대한 재구성작업은 부산경남지역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민주화’나 ‘민주주의’에 대한 개념정의 자체가 복합적이며 확정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 개념의 발전과 역사성 또한 끊임없이 새롭게 규정될 수 있을 것이다. 부마민주항쟁의 운동사에서의 기본적인 성격은 파시즘에 기반한 유신체제로서의 국가권력에 저항하는 대국가적인 저항운동이었다. 그러므로 부마민주항쟁은 민주화운동의 연장선상에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논의에서는 부마민주항쟁시기의 지역경제와 사회적 배경에 관심을 둔다. 박정희 정권은 60년대 이후의 국가와 독점자본의 위기탈피를 위해, 사활이 걸려있던 수출지향적 중화학공업화를 중심으로 축적구조를 재편해나가고자 하였다. 중화학공업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정치체제로서의 유신체제와 같은 파시즘적인 동원전략이 짝을 이루었다. 그러나 수출증가가 수입의 증가를 유발하는 경제구조는 자본축적과정에 있어서 본질적인 취약상을 보이게 되었고, 이러한 외자유치와 도입에 주력하게 될 수밖에 없는 구조는 외채의존성과 종속성이 높아지는 구조적 문제를 노정할 수밖에 없었다. 부마항쟁시기의 부산과 마산이라는 지역적 특성들과 관련하여 살펴보았을 때, 경공업중심의 노동집약적인 환경에서의 구조적 취약성은 부마민주항쟁 시기의 상대적 박탈감의 진원지가 되었다. 부가가치세의 향상과 같은 물가상승도 일상생활의 위기의 요인이 되었다. 이와 더불어 바다와 선원들을 중심으로 하는 수많은 인적교류가 이루어지는 항구도시에서의 본연적인 해양성을 바탕으로 하는 저항성과 합일성의 표출과 같은 사회심리적 태도들도 사회경제적인 요인들과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various debates on the democratic uprising of the Parliament are a reconstruction of local identity and a field of struggle over memory. This is why we should look closely at socioeconomic backgrounds as well as discussions during the Pusan-Masan(Pu-Ma) Democratic uprising as an event. As a result, the reconstruction work on the democratic uprising in Pu-Ma is closely related to the debate on 'identity' in Pusan and Gyeongnam provinces. The concept definition of 'democratization' or 'democracy' itself is complex and difficult to fix. The development and historicity of the concept will be constantly renewed. The basic character in the movement history of the Democratic Uprising was the fascist resistance to the state power as a fascist system. Therefore, the Democratic Uprising can be identified on the extension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is discussion, we are interested in the local economy and social background in the period of the Pu-Ma Democratic uprising. The ParkChungHee regime wanted to reorganize the accumulation structure centering on the export - oriented heavy - chemical industrialization which had been in vain for the crisis of the state and monopoly capital since the 60 's. In the course of promoting heavy chemical industrialization, fascist mobility strategies such as the restricting system as a political system were paired. However, the economic structure in which the increase in exports causes an increase in imports is an essential weak point in the process of capital accumulation, and the structure that can be focused on attracting and introducing foreign capital will have a structural problem of increasing dependency on foreign debt and dependency There was no. When we look a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Pusan and Masan at the time of the dwarf uprising, the structural weakness in the labor-intensive environment centered on the light industry has become the epicenter of the relative deprivation of the democratic uprising. Inflation, such as the increase in value added tax, also became a factor of daily life crisis. In addition, socio - psychological attitudes such as the manifestation of resistance and unity based on the maritime nature of a port city in which a lot of human exchanges are taking place centering on the sea and seamen will also need to be considered together with socioeconomic factors.

Ⅰ. 들어가며
Ⅱ. 민주화운동으로서의 부마민주항쟁과 시민사회
Ⅲ. 1970년대의 세계체제와 한국경제
Ⅳ. 부마항쟁당시의 지역경제와 몇 가지 특징적 양상들
Ⅴ. 나가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