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33.150
3.144.233.150
close menu
KCI 등재
아파트 공화국에 더해져야 할 장소적 시·공간
Spatial Time and Space That Should Be Added to the Republic of Apartment Houses
문정필 ( Moon Jung-pil )
DOI 10.17207/jstc.2018.6.21.2.251
UCI I410-ECN-0102-2018-300-003972356

한국의 도시는 대단지 아파트와 기존의 주거지가 이질적인 시각으로 드러난다. 그래서 도시경관은 부조화뿐만 아니라 어색함마저 느껴진다. 이러한 이유는 아파트가 산업화를 위한 도구로 작용되었기 때문이다. 산업화 초기, 아파트 단지는 기존의 논밭이나 취락지를 밀고 획일적인 수직적 매스들을 꽂아 농경생활이 중심이었던 옛 기억의 흔적들을 사라지게 하는 주범이었다. 또한, 1970-80년대에 건립된 저층 아파트의 노후화로 인해,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재개발은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불러오기도 했다. 2000년대 초반까지도 국내에서는 도시 공간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를 제기하는 연구는 미미했다. 그런데 2003년 발레리 줄레조가 한국의 아파트를 대상으로 박사학위 논문을 책으로 펴놓으면서 아파트와 그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한국 독자들을 위해 펴낸 『아파트 공화국(2007)』은 대량으로 지어진 아파트에 나타난 획일적인 도시공간에 대한 문제제기였다. 그중에서‘산업화의 표상으로서 획일화된 아파트’, ‘정치권력과 자본이 연합된 아파트’, ‘자본주의 본질에서의 상품화된 아파트’는 삶속에서의 사회적 정체성과 상실되어가는 가정의 의미를 바라보게 한다. 본고는 먼저 줄레조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아파트의 문제를 제기하고 여기에 물질주의 사회에서 나타난 아파트를 내부적 시선으로 고찰하여 그 논점을 도출한다. 여기에 장소적 시·공간의 접근을 통해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기능의 도입, 이미 정착된 기존 아파트 환경에서 진정한 주거 정서로 활성화될 수 있는 대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In the urban space of Korea, apartment houses of large complexes have resulted in awkward social aspects along with sceneries not harmonious with existing residences. It's because apartment houses have played a role of the tool of industrialization in Korea. Apartment complexes are the main culprit that have made the traces of old memories centered around agriculture disappear by pushing away former farmland and settlements and putting uniform vertical masses. When low-rise apartment houses built in 1970s and 1980s became deteriorated, redevelopment began in the early 2000s, which even led to overheating in the real estate market. Until then, there had been few researches that raised questions about social problems related to urban space. Since Valerie Gelezeau published a book with his doctorial thesis on the apartment houses in Korea in 2003, apartment houses and their culture have drawn attention. In 『The Republic of Apartment Houses(2007)』 published for Korean readers, social questions were brought up focusing on the standardized urban space resulting from the apartment houses built in large quantities. The key issues were the raised questions of ‘standardized apartment houses as the symbol of industrialization’, ‘apartment houses where political power and capital were combined’, and ‘commercialized apartment houses in the essence of capitalism.’ In this paper, along with the three discussions about apartment houses regarding which Gelezeau has brought up problems, as for their solutions, vitalization of and support for urban restoration, introduction of new functions following the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alternations for true residential emotions that need to be added to the existing apartment environment will be examined.

Ⅰ. 들어가면서
Ⅱ. 아파트 연구의 사회적 문제제기와 논점
Ⅲ. 아파트에 더해져야할 대안, 장소적 시·공간의 공존
Ⅳ. 나가면서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