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20.56
18.188.20.56
close menu
KCI 등재
장자의 행복과 여가
Zhuangzi(莊子)'s Viewpoint of Happiness and Leisure
劉長林 ( Liu Chang-lin )
사회사상과 문화 20권 223-250(28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2189

본 논문에서는 장자의 행복관과 여가관이 ‘무위이무불위無爲而無不爲’의 기초 위에서 세워진다고 여긴다. ‘무위無爲’는 일종의 특수한 행동방식과 운동과정이며, 목적은 사람과 만물의 ‘무불위無不爲’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무위無爲’하려 한다면 반드시 모든 집착을 내려놓고 마음은 만물과 일체가 되어야 한다. 이러하면 이해득실만을 따지는 번뇌에서 벗어나 하늘과 합일되는 정신적 쾌락을 얻을 수 있다. ‘무위無爲’는 여전히 경쾌하면서도 멈출 수 없는 창조 활동이며, 그 결과는 사람과 사람의 조화, 사람과 하늘의 조화, 사람과 만물의 공존과 공영을 이룬다. 장자가 추구한 행복과 여가는 바로 ‘지락至樂’이며, 이는 무궁한 창조의 과정 속에서 실현되는 것이다.

Zhuangzi(莊子)’s viewpoint of happiness and leisure i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inactivity(無爲) is lack of non-activity(無不爲)’. Inactivity(無爲) is a special way of behavior and process of movement, and its purpose is to help lack of non-activity(無不爲) of people and things. Inactivity(無爲) must be possible to abandon all attachment, and should be the one with all things. As a result, we got the mental pleasure combined with nature escaped from agony. Inactivity(無爲) is a creative activity that cannot stop it, it makes the harmony within people, the harmony of human and nature,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of human and the things. Happiness and leisure he pursued is ‘utmost pleasure’(至樂), it is realized in the process of the continuous creation.

Ⅰ. 들어가는 글
Ⅱ. 제물제론의 삶과 여가
Ⅲ. 동천지락同天之樂의 삶과 여가
Ⅳ. 무위지락의 삶과 여가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