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05.239
18.119.105.239
close menu
KCI 등재
여가로서 수행의 의미 - ‘노동사회’의 소비적 여가를 넘어 수행문화의 복지사회를 위한 단상
The Meaning of Asceticism as a Leisure: From the Consumable Leisure of 'Labor society' into the Asceticism Culture in the Welfare States
김미경 ( Kim Mi-kyong )
사회사상과 문화 21권 71-97(27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2149

본고는 물질문명을 가능하게 한 근대의 이성적·합리적 사고가 물화되고 도구화됨으로써 인간성 상실을 초래하였다고 비판한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문제제기에 다시금 주목하고, 노동사회의 소비적 여가를 성찰하며 여가로서 수행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현대인들의 과학맹신주의, 이성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고 있다. 본고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수행의 의미는 이성의 영역을 벗어나 있다. 수행에 있어 필요한 인간의 인지작용은 주로 직관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소비적 여가산업의 발전이 현대인의 소외현상 극복과 인간성 회복을 위한 처방이 될 수 없다는 문제의식 하에 현대인들이 경험하는 소외와 인간성 상실을 치유할 수 있는 여가로서 수행의 의미를 우리나라 전통 신선도의 수행문화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노동과 여가의 자본주의적 분리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율려문화’가 회복되어야 하고, 이는 수행문화의 정착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이는 ‘노동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정책을 제시하는 복지국가 역시 제도화되고 관료제화되어 감에 따라 인간의 모습을 한 복지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인식론적 전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is to pay attention to the suggestion of issue by Frankfurt School that the rational and resonable thought of the modern society that enabled the material civilization became materialized and utilized which caused the loss of humanity, reflect the consumable leisure of labor society and seek the meaning of asceticism as a leisure. Thus, this paper starts from the criticism of blind faith for the science and reason-centralism of the modern people. The meaning of asceticism that we intend to pay attention to from this paper is kept out of the area of reason. It is because the awareness action of human beings required for the asceticism is mainly the intuition. This paper intends to seek the meaning of asceticism as a leisure that enables to heal the sense of alienation and the loss of humanity which people today experience, through the asceticism culture of our traditional SINSUNDO (Taoist hermit tao) under the critical mind that the development of leisure industry can not be the prescription for the overcome of alienation phenomena and the recovery of humanity of the modern people. In order to transgress the capitalistic separation of labor and leisure, ‘Yulyeo Culture’ should be recovered and this can be come true through the settlement of asceticism culture - this is the point of this paper. This is because the epistemological conversion that allows us to advance into the welfare society which has the human shape is needed as the welfare states who suggest the policy for those living excluded socially in the 'labor society' are also systemized and become bureaucratized.

Ⅰ. 문제제기
Ⅱ. 여가의 특성과 의미
Ⅲ. 여가로서 수행의 필요성
Ⅳ. 우리나라 전통 신선도에서 수행의 의미
Ⅴ. 율려회복을 위한 수행
Ⅵ. 여가로서 수행의 수용가능성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