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2.222
18.118.12.222
close menu
KCI 등재
유가사상 공부론과 수양론의 탐색-퇴계의 논의를 중심으로
On the Study Theory and the Discipline of the Confucian Thought
정학섭 ( Chung Hark-serp )
사회사상과 문화 21권 231-260(30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4092

유학의 경전상에서 제기되는 수양공부론의 목적과 방법은 다양한 틀로써 제시되어 왔다. 공자의 공부론은 맹자의 사단四端과 양기론養氣論을 거쳐 송대의 성리학까지 계승된다. 성리학이 강조한 격물치지格物致知와 거경궁리居敬窮理도 결국 ‘배움’과 ‘생각함’ 양자의 통일을 통한 지식의 체계화와 사유를 통한 주체적 노력을 도모하고 중요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퇴계는 이들의 수양론을 받아들이면서 경을 한층 강조해 성학의 처음과 끝으로 정립하여 진실한 믿음(忠信)과 속임이 없음(不欺)이라는 ‘진실성’을 도덕적 실천의 기준으로 강조한다. 물론 퇴계가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는 ‘궁리’의 문제를 소홀히 한 것은 결코 아니다. 그는 성리학자들의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수용하여 정精·일一의 공부 아래에 계구戒懼·신독愼獨이나 극기복례克己復禮 등 각종 공부 항목을 강조하고 있다. 퇴계는 인심도심설을 가리켜 ‘학문의 대법’이요 ‘심법의 요점’이라고 주장한다. “유정유일하여서 윤집궐중允執厥中하리라”고 하여 ‘정·일’의 공부를 부각시키며 ‘집중’을 그에 수반하는 효과처럼 풀이한 것도 이 같은 뜻을 반영하고 있다. 인간다운 사람, 도덕적 주체성을 지키려는 이상적 인간다움을 평생의 수행 과제로 여겼던 유가사상 및 퇴계의 학문 정신, 마음 공부, 의지 및 태도에 기초한 수양공부론은 오늘날 과잉 욕망과 일탈 욕구에 사로잡혀 있는 우리들에게 법고창신의 지혜를 제공해 준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study theory and the discipline of the Confucian thought. The goal and method of the moral culture study theory(修養工夫論) which is proposed from Confucius's Code(儒學 經典)were presented with the various frames. Confucius's study theory passed by Mencius's the four Virtues(四端) and the vitality theory(養氣論) and was succeeded Neo -Confucianism in the Song(660~1279) Dynasties. Gyukmulchiji(格物致知) and Geogyunggungri(居敬窮理) which Sung Confucianism emphasizes also the deliberate finally with learning and thinking and plan the subjective efforts and consider the fact seriously through knowledge systematization and thinking. T‘oegye accepted the Suyangron(修養論) and emphasized more 'Gyung(敬)' and reestablished more these Confucianism from start to finish. And also he emphasized on 'sincere trust' and 'truth' which has not deception by ethical practices. And also he paid never attention to the problems of ‘Gungri(窮理)’ which leads to study the reason of thing. He embraced Sung Confucianism's Insimdosimseol(人心道心說) and emphasized various study contents (ie. Gyegu戒懼, Shindog愼獨, Gukkibokrye克己復禮, etc.) which is reached by the study of Jung精, Il一. He considered Insimdosimseol(人心道心說) as fundamental principles of study and maintained his opinion as keypoint of Simbeop(心法). He made a conclusion Yunjipgyeoljung(允執厥中) through Yujeongyuil(惟精惟一)and characterized the study of Jung精, Il一 and interpreted 'concentrated attention' as like an intended effectiveness, which is reflected these meanings.

Ⅰ. 들어가는 말
Ⅱ. 유가사상의 격물치지론과 거경함양론
Ⅲ. 퇴계의 공부론과 수양론
Ⅳ. 공부와 수양의 유기적 통합을 위하여 -새로운 정체성의 모색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