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199.162
3.128.199.162
close menu
KCI 등재
융합사회의 소통합리성과 동양적 관점에서 본 새로운 공공-민간의 관계
Communicative Rationality and New Public-Private Relationship in Eastern Perspective
박수호 ( Park Su-ho )
사회사상과 문화 22권 201-233(33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4007

본 연구는 융합사회의 등장으로 인해 나타나는 새로운 사회구성 원리로서의 소통 합리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공공영역과 민간 영역의 상호작용이 어떤 변화를 맞이할 것인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합리성 이론을 간략히 개괄하고, 그 한계와 과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비판적 검토 위에서 도구적 합리성으로 인한 근대적 주체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성과 감성의 조화, 상호성에 입각한 상호 인정과 이해를 추구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개별 상황 속에서 드러나는 맥락적 요소와 관계의 복합성, 그리고 그로 인한 창발적 결과를 포착할 수 있는 인문주의적 소통 합리성의 모색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맥락 속에서 변화되는 공공-민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우선 서구와 동양의 지적 전통에서 각기 달리 정의되고 있는 공공과 민간에 대한 개념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서구 사상사적 전통에서의 국가와 개인, 그리고 동양적 지적 전통에서의 공과 사 개념 사이에는 이분법적 세계관과 일원론적 세계관이라는 동서양의 근원적 인식의 차이가 놓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론적 차이는 현재에서 미래로 진행되고 있는 융합사회로의 변화 속에서 동양의 일원론적 세계관이 선택적 친화력을 갖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공공-민간 사이의 소통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음을 검토하고, 동양적 지적 전통에 근거하여 개인과 시민사회, 국가를 하나의 유기체적 통합체로 인식할 수 있는 공공-민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소통양식의 질적 발전 단계를 설정하고, 융합사회에 바람직한 공공-민간 상호작용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정보나 의미의 교환을 넘어서 상호 이해와 인정을 토대로 한 실천행위를 이끌어낼 수 있는 동조적 소통양식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In this study, I reviewed communicative rationality as a new principle of social organization and investigated models to explain the change of interaction of public-private sector in convergence society. In Chapter 2, I discussed outline of Habermas' communicative rationality theory and its limitations and challenges and argued the necessity of seeking humanistic-communicative rationality. In Chapter 3, concepts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were examined in intellectual traditions of Western and Easter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elective affinity between Eastern monistic world-view and convergence society. In Chapter 4, it were examined the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And in Chapter 5, I proposed new public-private relationship model in Eastern perspective and qualitative stage of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mode, and argued the necessity of synchronizational communication mode.

Ⅰ. 문제제기
Ⅱ. 소통 합리성의 변화
Ⅲ. 의사소통 주체로서의 공공과 민간
Ⅳ. 공공-민간 소통의 환경 변화
Ⅴ. 융홥사회에서 공공-민간의 관계 변화와 새로운 소통방식
Ⅵ.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