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53.209
18.221.53.209
close menu
KCI 등재
소통크기, 행복크기 -말하는 입, 말 못하는 입
Size of Communication, Size of Happiness: Speaking Mouth, Not Speaking Mouth
이하배 ( Lee Ha-bae )
사회사상과 문화 23권 73-107(35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3979

사람들의 삶은 다양한 종류와 방식의 만남들로 이루어진다. 만남의 본질은 소통에 있다. 소통은 만남의 당사자들 사이에 ‘물질이나 기호가 막힘없이 오감’의 뜻을 갖는다. 만남 없는 소통이 없듯이, 소통 없는 만남도 없다. 연구의 목적은 작은 ‘예문화’ 크기의 세상 속에서 살고 있는 우리들의 개인 행복 크기를 묻고 밝히고 키우는 사회적 조건을 ‘소통문화’ 개념을 중심으로 묻고 찾아가는 데에 있다. 따라서 연구는 사람 삶 속의 소통과 만남의 개념을 밝히면서, 사람크기ㆍ삶 크기를 세상크기와의 관계 속에서 읽고, 개인행복의 사회적 조건을 소통문화크기와 소통문화크기 키우기 개념을 중심으로 물었다. 그리하여 소통문화크기 키우기를 생각하면서 수많은 사회병리와 개인소외의 원인이자 결과인 한국사회의 작은 소통문화크기의 기본 논리와 모습을 물었다. 수직주의적 집단정체성이 강한 한국사회에서 혼자 혹은 일부분 사람들만 말하고 결정하는 경향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소통문화크기 키우기의 개인적 사회적 제 조건과 방법, 효과들을 합리적으로 반성하고 개선하는 문제는 당사자들이 스스로 그리고 함께 소통의 장을 열면서 이에 대해 서로 생각을 열고 나누고 키우는 가운데 풀어갈 수 있다. 이런 소통의 장은 가족, 지역사회, 학교, 회사, 교회, 공공장소, 매체 등 다양한 심급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열릴 수 있다. 전문가든 비전문가든, 이런 방향이든 저런 방향이든,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자유롭게 자신들의 소신을 사실적 논리적으로 설득력 있게 펼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고민하고 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다름에의 열음은 다름과의 만남, 다름과의 소통 그리하여 ‘다른 사람들이 같은 사람으로 함께 살기’로 이어진다.

People's lives are made of various kinds and ways of meetings. The nature of a meeting lies i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has the meaning of 'free come and go of material or signs' among the people in a meeting. As there is no communication without a meeting, there is no meeting without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quire and find with emphasis on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culture' social conditions that ask, reveal and grow our individual sizes of happiness living in a world of small 'courtesy culture' size. Therefore, this research, while finding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and meeting in a person's life, interprets the size of man and life in a relation with the size of world, and inquires on social conditions of an individual's happiness based on concepts of size of communication culture and increasing the size of communication culture. In doing so, bearing in mind increasing the size of communication culture, the basic logic and picture of Korean society's small size of communication culture, which is the cause and outcome of numerous social diseases and personal alienation, is looked into. In Korean society with strong hierarchical collectivism, it is not difficult to find a tendency of a single person or a small portion of people speaking and deciding on behalf of all. The issue of rationally reflecting and improving the various personal and social conditions, methods and effects of increasing the size of communication culture can be solved by opening a place of communication by people in question, both on their own and together, in an effort to open, share and develop thoughts. Such a place of communication can be opened in various ways on various levels such as family, local community, school, company, church, public place and media. Whether a specialist or not, this way or that way, it is important to think and come up together with ways for various people to gather to freely, logically and persuasively express their opinions. From difference to opening leads to meeting with difference, communication with difference, and finally to 'different people living as same people'.

Ⅰ. 머리말
II. 만나며 소통해야 하는 삶
III. 개인행복과 세상크기
IV. 소통문화크기 키우기
V.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