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39.55
3.129.39.55
close menu
KCI 등재
건축공간: 도덕경의 실증적 해석 비판과 주역 해석의 보완 - 반 데 벤의 건축공간론을 중심으로
Space in Architecture: Criticism of Empirical Interpretation of Tao Te Ching and Supplementa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I-Ching - A Study on the Van de Ven’s Space in Architecture
문정필 ( Moon Jung-pil )
사회사상과 문화 26권 207-234(28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3691

동양의 고전을 실증적 경향으로 해석하는 서구 이론가들은 텍스트를 표면적 객체들로 이해시킨다는 점에서 독자들의 감성을 이끌어 낼 수 있지만, 동양사상의 주체적 본질이 가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독일의 건축이론가인 반 데 벤은 그의 저서 ‘건축공간론’을 도덕경 11장을 통해 ‘건축의 세 가지 공간’을 서구의 논리적인 실증적 글쓰기로 고찰하였다. 그렇지만 그의 텍스트에서는 근본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물질과 공간의 순환적 원리를 정의하지 않은 점, 건축공간을 물질의 존재적 가치로 우선시 한 점, 공간을 실증적으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도가사상에 집적된 진정한 비움의 가치를 건축공간으로 드러내지 못한 아쉬움을 남겼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동양적 정신문화의 배경을 이루었던 주역의 음양사상으로 도덕경에 내재된 공간적 가치를 재해석하여 인식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덕경에 내재된 공간성을 서양사상으로 고찰한 기존 가치를 비판하고 동양사상을 개입시켜 해석하였다. 즉, 도덕경 11장에 내재된 공간성에 주역의 괘 상을 접근시키고 건축공간을 인식론적으로 재해석한 결과를 기존의 실증적 고찰 결과에 개입시켜 도가사상에 내재된 건축의 시 공간성을 도출하였다. 이는 동 서양 간의 사상이 상호 보완된다는 점에서 건축공간의 특징이 폭넓게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research, the existing value in which the spatiality implied in Tao Te Ching was investigated with western philosophy was criticized by introducing eastern ideas. In other words, the time and spatiality implied in Tao Te Ching Thought were deducted by approaching trigrams from I-Ching to the spatiality inherent Chapter11 of Tao Te Ching and by introducing the result of interpreting architectural space in terms of epistemology into the existing study results. As a result, three spaces of Van de Ven’s Space in Architecture were re-defined by supplementing them with the epistemological interpretation of I-Ching; ‘space based on tectonic elements’ to ‘the construction of materials for functional architectural space’, ‘space based on stereotomic elements’ to ‘the elimination of materials for useful space’, and ‘transitional space’ to ‘roles of materials for the communication of space.’ In this way, when western architectural theorists interpret classical eastern ideas empirically, the readers who can understand eastern classics easily are moved by superficial objects, which hide the independent essence of eastern ideas.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results of epistemological interpretation of eastern ideas can intervene and create the value to reform the two into the complemented space in architecture.

Ⅰ. 서론: 건축 공간 해석의 문제의식
Ⅱ. 도덕경으로 전개한 반 데 벤의 건축공간
Ⅲ. 건축공간: 도덕경에 주역의 접근 해석
Ⅳ. 동ㆍ서양의 사상으로 상호 보완된 건축공간의 정체성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