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6.154.103
3.136.154.103
close menu
KCI 후보
리기론적 패러다임으로 본 유교 사회학
Constucting Confucian Sociology through Li-Ch'i Paradigm of Neo-confucianism
이영찬 ( Lee Young-chan )
사회사상과 문화 6권 81-114(34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3606

본 논문에서 우리는 주자학朱子學의 리기론理氣論적 패러다임을 통해 유교 사회학의 이론 구성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새롭게 시도되는 사회학은 그 사회의 세계관에 바탕한 패러다임을 통해 태어났을 때 진정 새로운 정체성을 담보할 수 있다. 한국 사회에서 유교는 개인의 의식에서나 사회 구조에서 ‘무의식’, ‘심층 구조’로 엄연히 존재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래서 우리는 한국 사회학은 유교의 세계관과 이념, 사상을 통해 현실을 조명하고 또 조망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유교의 세계관이 가장 잘 집약된 주자학의 리기론에서 ‘세계관으로서의 패러다임’과 ‘모델·예제로서의 패러다임’을 찾아 이에 근거하여 유교 사회학의 ‘방법론’, ‘계층론’, ‘변동론’을 구성해 보았다. 이들 이론들의 구성은 각 이론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구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하였다. 리기론에서 ‘리理’는 ‘세계관으로서의 패러다임’으로, 그리고 ‘기氣’는 ‘모델·예제로서의 패러다임’으로 보고, 전자는 연구 대상의 구성에, 후자는 연구 방법의 구성에 유용한 패러다임으로 주로 이용하였다. 그리하여 유교 사회학 이론을 각각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1) 방법론에서, 연구 대상, 즉 ‘앎’을 이목지관耳目之官과 심지관心之官의 기능으로 얻어지는 앎과,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에서 발원하는 앎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연구 방법, 즉 ‘앎에 이르는 방법’으로 전자를 위한 격물格物의 방법(앎에 이르는 방법)과 후자를 위한 치지致知의 방법(앎을 이루는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2) 계층론에서, 연구 대상으로 리적理的 신분(덕, 재능에 따른 신분)과 기적氣的 신분(관작, 연치에 따른 신분)으로 구성하고, 그것의 연구 방법으로 천작인작天爵人爵, 입현무방立賢無方, 덕본재말德本才末의 관계를 밝혔다. (3) 변동론에서, 연구 대상으로 변역變易과 불역不易을 지적했고, 연구 방법으로 교역交易과 변역變易을 밝혔다. 이상의 유교 사회학 이론은 ‘빈곤’, ‘위기’로 묘사되는 현대 사회학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유교 방법론은 사회학적 앎에 있어 본성과 이성, 사리와 도리, 사실과 가치, 앎과 깨달음의 이원성을 극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불평등 이론은 불평등의 인격적 자원, 혈연적 연줄망, 유교적 권위 형태 등에 의한 불평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한다. 그리고 변동 이론은 현대 사회학 이론의 기능론과 갈등론, 순환론과 진보론 사이의 대립, 변동의 주체에 대한 논쟁들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the possibilities of constructing theory through the paradigm of Li-Ch’i theory of Neo-confucianism. The new sociology should be founded on the new paradigm. In this paper 'paradigm as a world view' and 'paradigm as a model or example' are sought in Li-Ch’i theory of Neo-confucianism which has a good summary of Confucian world view. And from this, the theories of methodology, social stratification, and social change are developed. The construction of theory is explained by way of subjects and methods of study. Based on Li-Ch’i theory, 'Li' is regarded as 'paradigm as a world view' and 'Ch’i' is regarded as 'paradigm as a model or example', the former being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subject of study and the latter being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method of study. The theory of Confucian sociology is composed as follows. (1) The subjects of the theory of methodology include the knowledge which can be attained as functions of the senses of hearing and seeing and the office of thinking and the knowledge which is originated from the mind of Jen(人心) and the mind of Tao(道心). And the methods for study include the investigation of things (which is the method of getting to knowledge) for the former and the extension of knowledge (which is the method of establishing knowledge) for the latter. (2) The subjects of class stratification theory include the status of Li which is labelled by virtue and talent and the status of Ch’i which is labelled by nobility and age) And the method of study shows how the idea of nobility of Heaven and man, idea of employing men of talents and virtue without regard to where they came from, and idea that virtue is the root and wealth is the result are related one another. (3) The subjects of social change theory include transformation and change and invariability and the methods of study explains the transaction and change and transformation and change. This theory of Confucian sociology are full of suggestions for modern sociology which is described to be in 'poverty' and 'crisis'. The methodology of Confucianism helps to overcome the duality of nature and reason, principle of things and principle of men, fact and value, knowing and apprehension in sociological knowledge. Theory of inequality gives a new perception of inequality which results from personal resource of inequality, network of kinship, power pattern of Confucianism. In addition, the theory of social change is suggestive for the discussion about the confrontation and changes in functionalism and conflict theory, and cyclical theory and evolutionary theory in modern sociology.

Ⅰ. 머리말
Ⅱ. 리기론적 패러다임
Ⅲ. 유교 사회학 이론의 모색
Ⅳ. 유교 사회학 이론의 의의
Ⅴ. 맺음말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