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218.215
3.137.218.215
close menu
KCI 후보
한국 불교 승가학풍의 사회학적 함의
The Sociological Meaning of Sangha-hakpung(僧伽學風) in Korea Buddhism
유승무 ( Lew Seung-mu )
사회사상과 문화 6권 113-133(21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3595

이 글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한국 불교의 학문적 정체성을 대표하는 승가학풍이 사회학의 한계를 보완 내지는 극복하는 데 어느 정도 함의를 가질 것인가를 밝혀 보고,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 불교의 현대화 과제에 부응하면서 향후 승가학풍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우리는 사회학의 성과를 여하히 수용할 것인가를 따져 보는 것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한국 불교계에서 전통적으로 이어져 오던 승가학풍을 나름대로 정의함으로써 그 특성을 도출해 보고, 이어서 사회학의 한계를 지적한 다음 승가학풍이 사회학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어떤 함의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인가를 논의하고, 마지막으로는 향후 승가학풍의 발전을 위해 사회학의 연구 성과를 여하히 수용할 것인가를 논의했다. 이 글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승가학풍은 불교를 전하고 승가를 육성하는 데 적합한 불교학이다. 이러한 승가학은 교의敎義, 선지禪旨, 수증修證, 교화敎化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의 3가지 교육 과정이 행위 주체의 완성과 관련되는 학문 내용이라면 후자는 사회의 완성을 위한 것이다. 결국 승가학은 사회의 완성과 개인의 완성을 이루기 위하여 교의, 선지, 수증, 교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승가학은 신앙과 학문의 결합성, ‘교의학’과 ‘선지학’의 동시적 추구, 학문과 실천의 통합성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승가학은 첫째 근대 과학(사회학)에서 배제되는 과학 이전의 문제를 다룰 수 있으며, 둘째 언어 이전의 실상을 이해하는 방법을 지니고 있으며, 셋째, 자신의 완성과 사회의 완성을 위한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학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승가학은 본질적인 한계를 내장하고 있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회학의 학문적 성과를 적절히 수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회학 방법론의 성과는 승가학 발전에 상당히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글이 승가학과 사회학이 상생의 길을 모색하는 데 다소의 함의를 갖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ociological implications of Sangha-hakpung(僧伽學風), which is formed historically in the course of studying buddhism, educating and training a number of monks have lived in Korean buddhis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Sangha-hakpung(僧伽學風) is a tradition of studying, learning, and training of monks in Korean buddhism. At the same time, it is scientific features that is taken naturally shaped in the course of succeeding the tradition and accommodating the monk-education to educational circumstances of modern age. This is made up by curriculums of Kyo-euy-hak(敎義學), Sun-ji-hak(禪旨學), Su-jeung-hak(修證學)-these are curriculums aimed at attaining of enlightment of one's own-, and Kyo-hoa-hak(敎化學)-this purpose is the establishment of ideal world(ideal society). This natural features of Sangha-hakpung(僧伽學風) contains the inseparable relation of religion and sciences, concurrently searching for Kyo-euy-hak(敎義學) and Sun-ji-hak(禪旨學), and the unity of theory and practice. Thought these essentially have the limitation of application to training monks, also it have the several implications that may supplement the limits of sociology. its implications is followed. First, while Sangha-hakpung(僧伽學風) includes the extingishment of lust and desires and the conquest of ignorance through the experince of buddha-nature) and mind control into scientific circle, sociology regards it as what excluded. Even if this character of Sangha-hakpung(僧伽學風) may hinder the development of science, it is possible for Sangha-hakpung(僧伽學風) to supplement the limit of sociology as modern sciense. Second, Kyo-euy-hak(敎義學) grasps the relations of all beings including reason and sensitivity in the perspective of inter-dependency(緣起), Sun-ji-hak(禪旨學) is a science that tries to understand the real state of affairs going beyond language. So, Sangha-hakpung (僧伽學風) have a meaning to supplement the reason-centered science, the defect of sociology as its characteristics that we have showen above. Third, sociology is indifferent to the meditation and self-cultivation of sciologist or scholar, but Sangha-hakpung(僧伽學風), which have a character of unit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ry to achieve its ultimate goal, namely attaining of enlightment and establishing the ideal society. However, Sangha-hakpung(僧伽學風) have a task to have to comply with sociological studies. Especially, Sangha-hakpung(僧伽學風) have a need to introduce the scientific tools, sociological concepts and methodology.

Ⅰ. 서 론
Ⅱ. 승가학풍의 정의
Ⅲ. 사회학의 성찰
Ⅳ. 승가학풍과 사회학의 상생
Ⅴ. 결 론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