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183.187
3.135.183.187
close menu
KCI 후보
전통 교육, 근대 교육, 탈근대 교육
Traditional Education, Modern Educaion and Post-Modern Education
정재걸 ( Jung Jae-geol )
사회사상과 문화 6권 133-169(37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3580

전통 교육은 탈근대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되어야 한다. 깨달음을 목적으로 하는 전통 교육은 오직 노동력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는 근대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한(知己之學) 전통 교육의 교육 내용은 지식과 정보를 내용으로 하는 근대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자기 학습과 평가 중심의 전통 교육은 지식의 전달과 학습을 위주로 하는 근대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다. 학습자 자신에게 내재된 궁극적인 스승에게로 인도하는 전통 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은 지식의 전달자와 그러한 지식을 획득하도록 돕는 조력자로서의 근대 교육의 교사 역할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신성한 도량으로서의 전통 교육의 학교는 숙련된 인력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공장으로서의 학교와, 학생들이 자신의 필요에 따라 상품을 구매하듯 교육 내용을 선택하는 시장 모형 학교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교육은 스스로 공부하도록 하는 것이고, 공부는 자신을 변화시켜 본래의 자기를 회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이 교육의 본질이다. 탈근대 교육과 그것의 원형으로서의 전통 교육을 복원하고자 하는 것은 교육의 본질로 돌아가기 위함이다. 근대 교육이 왜곡한.

The traditional education can and should be an alternative of the modern education. The traditional education aiming at self-realization can replace the modern education seeking increase of productivity. The traditional education that emphasizes self-knowing can replace the modern education that emphasizes objectiv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traditional education that encourages self-study and evaluation can replace the modern education that puts focus on knowledge-delivery and instruction. The teacher following philosophy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who leads learners to the mentors dwelling inside the learners themselves, can substitute for the teacher following philosophy of the modern education, who delivers knowledge to learners and helps them acquire knowledge. Schools as seminars under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can substitute for schools as factories and as markets under the influence of the modern education, where a mass of skilled manpower is produced and what to learn is chosen by learners as if goods were chosen according to their needs. Education should encourage self-study, and study should help one change oneself and recover the real self. This is the ideal of education. Pursuing the post-modern education and trying to recover the traditional education as its prototype is an attempt to revive the spirit of education distorted by the modern education.

Ⅰ. 들어가는 말
Ⅱ. 교육목적론
Ⅲ. 교육내용론
Ⅳ. 평가론
Ⅴ. 교사론
Ⅵ. 학교론
Ⅶ.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