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07.149
18.223.107.149
close menu
KCI 후보
사회진화론과 만해의 사회사상 ― 『조선불교유신론』을 중심으로
유승무
사회사상과 문화 8권 133-147(15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3424

이 논문은 만해의 지적 배경으로 작용했던 사회진화론이 그의 실천 활동(불교개혁활동) 및 불교사상과 어떻게 각각 연관되는지를 밝힘으로써 그 사회사상적 함의를 도출해 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만해의 불교 관련 대표 저서인 『조선불교유신론』을 자료로 삼아 그 내용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보다도 먼저 만해가 어떤 경로를 통해 어떤 목적으로 사회진화론을 수용하게 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지하듯이 만해는 중국의 변법자강론자로 알려진 양계초를 통해 사회진화론을 수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수용하여 양계초의 유사한 목적 즉, 한국의 자강을 전개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불교유신론』의 1장~4장의 서론 부분에서 잘 드러난다. 다음으로 제5장에서부터 제17장까지는 본론에 해당하는 부분인데, 이는 다시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첫 번째 부분은 불교사상에 기초하여 불교 현상의 유신을 주장하는 부분이며, 두 번째 부분은 불교사상과 사회진화론에 모두 의존하면서 불교유신을 주장하는 부분이고, 나머지는 전적으로 사회진화론에 기초하여 불교유신을 주장하는 부분이다. 이 세 부분에 포함되어 있는 각 항복의 세부적인 내용 분석은 본론을 참고하기 바란다. 『조선불교유신론』은 바로 이러한 사상적 근거에 기초하여 불교유신을 주장하는 내용이라는 점에서 크게 두 가지 근본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첫째는 사회진화론과 불교사상이 크게 세 가지 점에서 상호 대립각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것이 적절하게 해소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둘째는 사회진화론에 기초하여 불교유신을 주장하는 문제점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만해의 『조선불교유신론』은 여전히 현재성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오늘날 우리에게 주어진 사상적 과제와 실천적 과제가 만해의 당시의 그것에 비해 조금도 모자람이 없기 때문이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만해의 『조선불교유신론』은 아직도 우리의 주목을 받기에 충분한 가치를 지니는 명저로 남아 있다.

Ⅰ. 서론
Ⅱ. 만해의 사회진화론 수용에 관한 예비적 고찰
Ⅲ. 사회진화론과 『조선불교유신론』의 연관성
Ⅳ. 『조선불교유신론』의 사회사상적 의의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