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84.237
18.118.184.237
close menu
KCI 등재
사회운동으로서의 조계종 종단개혁운동
박수호
사회사상과 문화 11권 59-90(32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3151

새로운 밀레니엄을 앞둔 1990년대는 세계사적으로 중대한 변화의 시기였다. 동유럽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로부터 촉발된 이데올로기 대립의 종식과 민족주의의 재등장, 인터넷으로 상징되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그로 인한 사회 각 분야에서의 세계화 경향, 세계 곳곳의 민주화 열풍은 국내외 정세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불교계는 1994년 조계종종단개혁을 경험했다. 그러나 조계종 종단개혁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평가는 유보되고 있다. 조계종 종단개혁은 불교가 정치적 예속에서 탈피하여 불교의 자율성과 사회적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사회학적 연구 가치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부각되고 있는 다양한 사회운동이론의 현실적 합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조계종 종단개혁을 사회운동의 차원에서 재해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종단개혁이 가지는 사회운동으로서의 의미와 사회학적 함의를 지적하고, 다양한 사회운동 이론의 적용 지평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계종 종단개혁의 역사적·사회적 배경을 살펴보고, 종단개혁운동의 과정과 행위주체들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종단개혁을 주도한 ‘범종추’라는 뚜렷한 개혁주체에 의해 불교계의 자원들이 효과적으로 동원됨으로써 운동의 목표를 달성하게 되었다는 점, 종단개혁 과정에서의 프레임 변화가 나타났고 그것이 자원동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점 등을 확인함으로써 사회운동에 대한 구성주의 이론들의 설명력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회학적 함의와 함께 조계종의 종단개혁운동이 불교시민사회의 형성, 불교의 자율성 확보 및 사회적 기능 회복 등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는 의의도 확인할 수 있었다.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고찰: 사회운동의 구성주의 이론
Ⅲ. 조계종 종단개혁의 배경
Ⅳ. 조계종 종단개혁의 운동조직과 동원 체계
Ⅴ. 종단개혁운동의 전개 과정
Ⅵ. 종단개혁운동의 결과와 의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