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39.50
18.119.139.50
close menu
KCI 등재
제사를 통해 본 ‘효孝 문화’의 유교적 전통과 전망
국민호
사회사상과 문화 12권 69-84(16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5044

‘효 문화’ 전통이 오늘날 어떻게 작동하고 있으며, 우리는 이러한 문화적 전통 속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 것인가? 효 개념은 항상 고정되어 있는 개념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발전해 온 개념이다. 전통적인 효 사상에는 ‘생명의 연속’이라는 종교적 측면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다. 유교적 제사는 조상(과거)과 자손(미래)을 이어 주는 의식으로나(현재)는 제사를 통해 조상과 자손을 이어 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한다. 제사를 통해 나의 행적은 나의 자손들에게 오랜 동안 기억되면서 재현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생명 연속 사상은 효 사상으로 정립되어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를 강화시켰다. 여기서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는 일방적인 것이 아닌 쌍무적인 관계였다. 효는 가족에 대한 자연스러운 유대와 친애의 감정을 바탕으로 한다. 효를 통한 사랑은 부모 자식 관계를 출발점으로 하여 친한 정도에 따라 정비례한다. 전통적인 효는 그 대상이 명확하기 때문에 그 행위가 더욱 구체적이고, 관계 지향적이다. 효 사상은 두루 사람을 사랑하는 박애博愛보다는 특별한 대상, 즉 부모와 형제를 중심으로 하는 가족을 우선적으로 사랑하는 별애別愛를 지향한다. 효 문화를 통한 가족주의의 발전은 한국 가장의 가족에 대한 강한 책임의식을 강화시켰고, 나아가 부모가 자식에 대한 희생과 헌신을 마다하지 않는 계기가 되었다. 동시에 자식의 부모에 대한 보은의 책임감은 자녀들이 사회에서의 성공과 부모보다 더 훌륭한 삶을 추구하도록 하는 동력이 되었다. 나아가 지배층에 대한 ‘정신적 측면의 효’의 강조는 한국의 지식인들이 정치나 사회문제에 강한 관심을 갖고 사회적 책임감을 느끼게 하는 바탕이 되었다. ‘효 문화’를 포함한 우리의 독특한 문화적 전통은 서구화, 세계화가 대세인 현 시점에서 우리의 정체성을 지켜주는 중요한 문화적 자산이 될 것이다.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함의
Ⅲ. 효 문화의 유교적 전통
Ⅳ. 제사를 통해 본 효 문화의 실천
V. 토론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