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36.203
13.59.36.203
close menu
KCI 등재
망명도시의 장소상실과 좌초하는 코즈모폴리턴의 초상 - 주세죽과 상해, 그리고 모스크바 -
Placelessness of Asylum City and Portrait of Frustrated Cosmopolitan
임정연 ( Lim Jung-youn )
국제어문 77권 31-56(26pages)
DOI 10.31147/IALL.77.2
UCI I410-ECN-0102-2018-800-003756244

이 글은 192,30년대 상해와 모스크바에서의 장소상실 과정을 바탕으로 좌초된 코즈모폴리턴으로서 여성 사회주의자 주세죽의 삶을 복원해보고자 한 시도이다. 주세죽에게 상해는 3·1 운동 이후 사회주의 사상을 접하고 박헌영을 만나 혁명과 사랑, 조국과 세계를 함께 꿈꿀 수 있었던 낭만적 해방구로, 식민지 조선 여성 주세죽의 정체성을 코즈모폴리턴 코뮤니스트의 문맥에 재배치시킨 가능성의 공간이었다. 이에 비해 혁명가들의 무덤 조선은 주세죽의 정체성을 박헌영의 하우스/아지트 키퍼로 박제해버렸다. 이런 상황에서 모스크바행은 주세죽이 혁명주체로서의 개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필연적 여로였다고 할 수 있다. 혁명의 심장 모스크바에서 주세죽은 하우스/아지트의 공인된 주체로서 사회주의의 일상을 향유했다. 그러나 상해와 모스크바가 보여준 환대는 조선에 대한 비극적 인식에서 비롯된 환영 혹은 백일몽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착각과 오인의 결과라 할 수 있다. 1930년대 이루어진 2차 상해행과 모스크바행에서 주세죽은 두 장소의 변질된 정체성에 대한 결핍감과 단절감을 확인한다. 일제에 점령당한 상해의 축소된 국제선 활동과 폐쇄적인 한인 커뮤니티는 주세죽으로 하여금 과거 상해 시절에 대한 향수를 소환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시 돌아온 스탈린 체제 하의 모스크바에서도 주세죽은 달라진 처우와 변화된 공기를 감지하고 망명 혁명가가 아닌 생존을 위한 유랑민으로서 자신의 위상을 깨닫는다. 1937년 김단야가 밀정 혐의로 사형당한 후 주세죽은 제1급 범죄자의 아내라는 죄목으로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에 유폐된 채 영원히 돌아오지 못하고 생을 마감한다. 두 번째 모스크바 거주 시기는 국가, 가족, 계급, 공동체 어느 하나의 좌표에도 안착하지 못한 주세죽의 탈구 위치(dislocation)를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되었다. ‘코르예바’, ‘한베라’로도 불린 주세죽은 명명의 복수성에도 불구하고, 결국 배타적 근대 권력 구조 안에 포섭되어 접경의 삶과 이산 자아의 새로운 가능성을 실천하는 데 실패했다. 그러나 주세죽의 비극은 개인의 한계라기보다 생존회로(survival circuit)의 말단에서 다중적인 모순과 억압에 처한 이주 여성의 한계와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재고해볼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life of female socialist Ju Seo-Juk through the memory of places in Shanghai and Moscow. She resided in Shanghai and Moscow two times in the 1920s and 1930s respectively. In the 1920s, Shanghai was a romantic expedition to meet the spirit of socialist ideology and to meet Park, Hun-young. The identity of the Ju Seo-Juk was relocated to the context of the Cosmopolitan communist from the Joseon woman in there. She also enjoyed socialism in Moscow and confirmed identity and individuality as a revolutionary subject. However, the possibility of the Shanghai and Moscow has come from the tragic perception of Joseon. Therefore, it was only illusion or daydream. In the 1930s, The memory of places in Shanghai and Moscow is based on sense of discomfort and loss. Based on the changes in the world situation and the domestic policies of China and Russia, she experienced a different way of living same place. And she realized his identity as a wanderer for survival, not an asylum-seeking revolutionary. After the death of her second husband, Kim Dan-ya, in 1937, she was sentenced to exile in Kazakhstan and died in Moscow without. Thus, the tragedy of Ju Seo-Juk comes from a multilayered contradiction that does not settle in any one of the coordinates of the state, family, class, and community. This shows her dislocation at the end of the survival circuit. She did not show the new possibilities of the diaspora self-consciousness in an exclusive modern power structure.

1. 주세죽, 코레예바, 한베라
2. 붉은 연애와 코즈모폴리턴, 유동하는 정체성
3. 유실된 유토피아, 상상의 노스탤지어
4. 망명도시의 망상과 환대의 오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