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51.155
3.149.251.155
close menu
KCI 등재
『제국신문』(1907.5.17.∼1909.2.28.) ‘논설란’에 나타난 ‘국문’론과 감성화 전략 연구
The Theory of ‘Korean Language’ and Esthetisation that Appeared in the Editorial Column of the “Jeguk Sinmun” (1907.5.17.∼1909.2.28.)
이은선 ( Lee Eun-seon )
국제어문 77권 141-164(24pages)
DOI 10.31147/IALL.77.6
UCI I410-ECN-0102-2018-800-003756406

본 논문의 목표는 『제국신문』(1907.5.17.∼1909.2.28.)의 논설란에 나타난 ‘국문’론과 계층성의 관련 및 감성화 전략을 검토하는 데 있다. ‘국문’론은 한글 신문이라는 『제국신문』의 정체성의 문제에서부터 독자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국문 신문’에 대한 반감과 배제의 작동 방식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국문 신문’을 읽거나 듣는 독자층의 면면을 확인함으로써 『제국신문』의 ‘독법’에 대한 추론이 가능해질 것이다. ‘국문-(국문 신문)-국혼’의 의미망을 형성하면서 ‘국문 신문’의 구독을 강조하는 일련의 논의들은 신문사 측의 재정난을 타개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도 있지만, 독자들로 하여금 인쇄기술의 발달이라는 세계사적 흐름에 동참하기를 요청하는 매체론적 요구였다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국문’론과 계층성의 연관을 기반으로 『제국신문』에서 ‘우리’라고 지칭될 수 있는 대상들이 어떻게 ‘정치적인 것’을 출현시키고 있는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논설’에서 ‘지방 동포’라고 명명된 대상들은 정운복 등 신문사의 일방적인 호명에 의해 구성되었다기보다 ‘기서’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 독자와의 상호작용 위에서 가능했다. ‘지방 동포’의 실상을 논의하면서 지배 계층의 수탈 등을 전면적으로 비판하는 논설이 발견되고, ‘이소사’가 직접 신문사에 방문하여 억울함을 호소한 일을 ‘사건화’하여 ‘별보’에 게재하는 것을 통해 『제국신문』이 ‘공담’·‘공론’을 대변하는 기관이라는 점이 드러나기도 했다. 경/향, 귀/천, 노/소, 남/여를 둘러싼 미시적인 차별의 장면을 포착하고, 배제된 대상들의 ‘감수성’을 지면을 통해 가시화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풍속 개량’ 논의는 『제국신문』이 다양한 불평등과 차별이 발생하는 현장에 ‘감성론’의 관점에서 개입하는 전략적 실천이었음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In 2014, the Early Modern Age Media Study Group published the “Collection of Unpublished Editorial Data of Jeguk Sinmun.” Based on data that have not been introduced to the academia, new studies are being submitted. In this paper, based on the ‘editorial column’, the the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esthetisation’ will be reviewed. The ‘editorial column’ contains the editorials of Jeong Wun-bok, contributions (from readers), and special reports. Although the writings of Jeong Wun-bok account for the majority of the writings in the column, readers’ diverse response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contributions (from readers). First, the theory of ‘Korean language’ is developed in relation to the identity of the “Jeguk Sinmun” based on ‘Korean language.’ Lower classes such as married women and workers who ‘cannot read Chinese characters’ are assumed to be major readers and nation, patriotism, etc. are discussed through the links of ‘Korean language-(Korean newspaper)-national sprit.’ In addition, the editorial column request to read newspaper (reading and hearing) through comparison with foreigners who love ‘newspaper.’ Thereafter, diverse data that enable identifying the classes of readers appear in the editorial column. In particular, the editorial column sympathizes with the pain suffered by the people in the lower classes and in provinces and continuously show criticisms about the ruling class. In addition, the editorial sometimes encourages ‘self-supporting students’ who work during the daytime and study at night. The editorial also presents new living habits for food, clothing, and shelter with a view to ‘improving customs.’ In this case, new ‘sensitivity’ becomes to appear and it has ‘political nature.’ Although abolishing irrational systems and removing inequality, revealing the ‘sensitivity’ of people in the lower class that have been alienated thus far to the front can be also said to be important. This paper is intended to call such a tendency as ‘esthetisation’.

1. 서론
2. “죠희 세계”와 ‘국문’론의 내러티브
3. ‘정치적인 것’의 출현과 감성화 전략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