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07.161
18.119.107.161
close menu
KCI 등재
주자의 예와 몽테스키외의 법 ―‘근대성’과 ‘탈근대성’을 중심으로
Montesquieu’s Laws and Juja(朱子)’s Ceremony(禮) -Centering in ‘Modernity’ and ‘Postmodernity’-
이승연 ( Lee Seung-yeon )
사회사상과 문화 16권 73-105(33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4507

유학의 ‘근대성’과 ‘탈근대성’의 문제가 유학을 둘러싼 중요한 담론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한때, 근대화의 걸림돌로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던 유학이 이제 탈근대를 위한 대안적 사유로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이 글은 근대의 선구적 사상가로 일컬어지는 몽테스키외의 법과 중세적 봉건체제의 완성자로 평가되는 주자의 예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주자학에 있어서 ‘근대성’과 ‘탈근대성’의 의미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분석방법을 시도하는 이유는 첫째, “사물 자체보다 사물의 질서”에 관심을 가진다고 한 몽테스키외의 법과, 예를 ‘천리天理의 절문節文, 인사人事의 의칙儀則’이라 규정한 주자의 예 개념이 유사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둘째, 몽테스키외는 자연법과 실정법의 구분을 새로운 시민사회 건설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삼았는데, ‘성인제례聖人制禮’에 기반을 둔 주자의 예 사상에는 자연법 사상이, 그리고 ‘시왕時王의 예’에서는 실정법의 맹아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자 예 사상의 근대적 특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주자가 추구한 종법적宗法的 예치시스템은 몽테스키외의 정체 분류법에 따르면 군주제에 속한다. 그러나 법이 아니라 예에 의해 통치되는 군주제라는 점에서 주자의 군주제는 몽테스키외의 군주제와 구분된다. 그 점 또한 주자와 몽테스키외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 이유이다. 넷째, 그들은 모두 새로운 사회를 추구하였고 ‘고대’를 통해 새로운 사회상, 이상적인 사회상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 ‘이상형’은 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지역적 격차와 시대적 단층을 뛰어넘을 수 있는 하나의 분석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몽테스키외의 법 개념과 정체론을 통하여 주자와의 비교를 위한 분석틀을 마련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주자의 예 사상이 지닌 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주자 예학의 형식주의적 특성이 순자 예론에 연원을 둔 것이라 전제하고 법가와 순자, 그리고 주자와 몽테스키외의 사상을 비교한다. 그러나 이 글 역시 동ㆍ서양 비교연구를 위한 지극히 초보적인 시론에 불과함을 밝혀둔다.

The issue of ‘Modernity’ and ‘Postmodernity’ in the Confucianism is rising as one of the important discussions surrounding the Confucianism. Once criticized as the stumbling block in the modernization, the Confucianism now begins to receive the attention as the alternative thought towards the postmodernity. The present paper seeks to illumine the meaning of the ‘modernity’ and the ‘postmodernity’, by comparing and analyzing Laws of Montesquieu who is called the modernity’s pioneering thinker, and Ceremony of Juja who is regarded to have perfected the medieval Feudalism. The reasons for attempting this methodology are: first, Montesquieu’s Laws that are concerned with the order of things rather than the things themselves, and Juja’s concept that defined Ceremony as the statute of the heavenly order, the canon of the human affairs, share similarities. Secondly, although Montesquieu regard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natural law and the established law as an important factor for building the new republic, one could discover the concept of the natural law in Juja’s Ceremony that is founded on Ritual of the Sacred Man, and the budding sprout of established law in Ritual of the Time-King(時王). Thirdly, Juja’s clan-regulated system of Ceremonial rule belongs to Monarchy, according to Montesquieu’s classification of the political systems. Juja’s monarchy, however, is distinct from Montesquieu’s monarchy, in the sense that Juja’s monarchy is ruled by Ceremony. This point is also one reason why the comparative analysis is being attempted. Fourthly, both Juja and Montesquieu pursued the new society, and attempted to discover the new image of society, the portrait of the ideal society, via the Ancient. This ideal type could become one framework of analysis that could leap over the regional differences and epochal faults. This paper seeks first to establish the framework of analysis in conjunction with Juja by utilizing Montesquieu’s concept of Laws and theory of political system, and based upon which examin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Juja’s thoughts on Ceremony. Especially, upon the premise that the formalistic characteristic of Juja’s Ceremony originated from SoonJa(荀子)’s theory of Ceremony, it seeks to compare the thoughts of Bupka(法家) and SoonJa, and of Juja and Montesquieu. It must remain salient, however, that this paper is nothing more than the most elemental, primeval discussion towards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East and the West.

Ⅰ. 서언
Ⅱ. 몽테스키외의 정체, 법 그리고 중국
Ⅲ. 주자의 예와 법, 그리고 종법
Ⅳ. 결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