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93.232
18.118.193.232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사회 과잉과시의 구조적·역사적 이해
The structural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on over-ostentation in Korea
유승무 ( Lew Seung-mu ) , 박수호 ( Park So-ho ) , 최봉영 ( Choi Bong-young )
사회사상과 문화 17권 115-141(27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4385

일반적으로 사회적 과시는 행위론적 관점에 근거하여 주로 과시소비의 차원에서 논의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최봉영 등은 사회적 과시의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오늘날 한국인은 물질과시를 통해 자신의 인격을 과시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행위는 그 사회의 구조적, 역사적 맥락과 무관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수용하면서 물질과시와 인격과시가 결합됨으로써 나타나는 한국사회의 과잉과시 현상에 대한 구조적이고 역사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인격적 요소를 내포한 물질과시라는 사회적 과시의 한국적 특수성이 ‘왜, 그리고 어떤 궤적을 따라’ 형성되었는지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인정자본 개념을 사회적 과시의 한국적 특수성이 형성되는 원인과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로 활용하였다. 기본적으로 사회적 인정을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자본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사회구조와 아비투스로부터 동시에 영향 받게 됨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 틀에 근거하여 한국사회에서 인격 아비투스가 형성되는 맥락을 상술하고, 신분사회에서 자본주의사회로의 구조변동을 경험한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인정자본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추적함으로써 현대 한국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과잉과시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과시의 장기적 변화 양상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1) 유교사회에서 자본주의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사회적 인정자본이 신분(귀속 자본)에서 물질(성취 자본)로 변화하였고, 그 결과 지배적인 과시 형태도 신분과시에서 물질과시로 바뀌었다. 그럼에도 ‘인격’ 아비투스는 지속적으로 남아 있으며, 따라서 물질과시를 통한 인격과시가 사회적 과시의 한국적 특수성이 되었다. (2) 사회적 과시의 수단이 다양화되고, 물질이 과시의 결정적인 수단으로 등장함에 따라 그것을 표현할 수 있는 온갖 물건이 모두 과시의 수단이 되었다. 한편 과시의 주체도 변화하였다. 전통사회에서는 신분과시의 주체가 양반계층에 한정되어 있었다면, 오늘날에는 과시의 물질적 수단을 소유한 그 누구라도 사회적 과시의 주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요인의 복합적 상호작용의 결과, 오늘날 한국사회에서는 과잉과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Typically, it was on the viewpoint of ostentatious consumption the discussion on social ostentation. Today, many researchers conclude that the Korean show off his personality through material ostentation. However, the social activities associated with structural and historical context of that society.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structural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of over-ostentation in Korean society. More specifically, we checked up Korean peculiarity of social ostentation, material ostentation include elements of personality empirically and such peculiarity is ‘why, and what drove along’ the formation to make clarifications. Meanwhile, we used the concept of social recognition capital as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he causes and course of Korean peculiarity of social ostentation. We clarified various social capitals to acquire for social recognition exists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affected by social structures and habitus from theoretical study. Through this theoretical framework, we described the context and formation process of personality-habitus, and admitted tracking whether changes in how social recognition capital in the structural changes of Korean society. Through the above process, we tried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over-ostentation in a modern Korean society. As a result, we cleaned up the long-term changes of social ostentation in Korean society as follows: (1) in the change from Confucian society to Capitalist society, social recognition capitals changed from identity to materials. As a result, the dominant form of ostentation changed to material ostentation from identity ostentation. Nevertheless, the personality-habitus remains, it was Korean peculiarity of social ostentation, and material ostentation included elements of personality. (2) Tool of social ostentation became various; material is emerging as a dominant means of showing off. Therefore, all kinds of things become the means of showing off. The subject of showing off was changed. In traditional society, the subject of showing off was limited, however, today that owns the material means that anyone can be the subject of a social ostentation. All of these factors interact with the results of the blended, over-ostentation phenomenon appears in today’s Korean society.

Ⅰ. 서론
Ⅱ. 사회적 인정자본과 사회적 과시의 관계
Ⅲ. 한국사회의 사회적 과시의 변화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