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235.196
3.15.235.196
close menu
KCI 등재
전륜성왕의 개념형성과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on and Acceptance of the Concept of Cakravartin
윤세원 ( Youn Sae-weon )
사회사상과 문화 17권 173-202(30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4365

불교적인 관점에서 정치현상이나 통치자가 존재해야 하는 이유는 공동체를 좀 더 도덕적이게 하는 데 있다. 불교도들은 도덕세계의 수호자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통치자를 전륜성왕이라고 하였다. 전륜성왕이라는 용어에는 이상적인 통치자질의 전형이 내포되어 있는 개념이고, 지상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을 소유한 우주적 군주를 지칭하는 것이기도 하다. 전륜성왕이라는 개념은 비록 고대 인도인들이 생각한 신화적인 내용들에서 출발한 것이기는 하지만, 그들도 좋은 통치를 원했고 좋은 통치를 위해서는 아무나 통치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의식하고 있었음을 보여 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 용어는 불교에 수용되면서 그 상징적 외피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그 함의는 확장되고, 내용에는 많은 변화를 겪게 된다. 불교에 수용된 전륜성왕의 개념은 강력한 왕권의 남용을 억제하고, 권력을 자비실천의 도구로 전환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전환은 사회계약론적으로 보는 불교의 근본적인 통치자관을 상황의 변화 속에서도 내용적으로 지속시키려는 초기 불교도들의 정치적 소망과 노력의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아쇼카왕의 출현은 이러한 경향에 결정적 자신감과 실현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높여 주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전륜성왕 사상은 불교의 전파와 함께 중국과 한반도로 전래되었고, 중국의 여러 왕조의 통치자들과 삼국의 통치자들에게 전륜성왕은 매력 있는 혹은 자신이 그렇게 되고 싶은 황제의 상으로 받아들여졌고, 구체적인 모델은 아쇼카 대왕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더 깊은 관심은 전륜성왕의 통치 내용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그렇게 함으로서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 왕권을 강화하는 데 있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Politics or political leader has to be needed for the moralistic community in terms of Buddhist point of view. Buddhists believed that Cakravartin was the leader who had ability to build a moral community. Accordingly, the concept of Cakravartin includes the model of idealistic ruler and the meaning of the most powerful ruler in the world. In fact, theses meanings about Cakravartin existed in Indian society before the Buddha’s era. The concept of Cakravartin is derived from the myths developed by ancient Indian people. This reflects that the ancient Indian people believed that the good ruler is needed for the good ruling. In other words, every one cannot be a ruler for the good community. This meaning was, of course, changed in its contents when the concept was accepted by Buddhism. The concept of Cakravartin accepted by Buddhism focused on restraint of abuse of absolute power and transformation of power into a tool to practice benevolence. This transformation can be understood as the early Buddhists’s desire to continue the basic meaning of ruler in the changed situation. The thought of Cakravartin was diffused to China with the propagation of Buddhism. Cakravartin was very attractive for the rulers in the various dynasties in China, and they accepted the meaning of Cakravartin as a model of king whom they want to be. However, the Chines kings tried to strengthen their power by using the concept of Cakravartin, rather than they followed the real meaning of Cakravartin. This interpretation is not aimed at devaluating their faith on Buddhism. What I emphasize is that there are not so much differences between Buddhist ruling behavior and traditional Chinese ruling behavior.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Cakravartin could not change the meaning of state and society into Buddhistic understanding. This phenomena was almost same as that in the three kingdoms in Korea.

Ⅰ. 들어가는 말
Ⅱ. 아쇼카(Asoka)왕과 전륜성왕
Ⅲ. 중국으로의 전래와 변용
Ⅳ. 삼국에서의 수용과 그 특징
Ⅴ. 맺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