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65.246
18.221.165.246
close menu
KCI 등재
18세기 전후 주자학의 지역적 전개에 관한 일 고찰 - 정만양·정규양 형제의 『의례통고』를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Regional Propagation of Juja School, Circa 18th Century - Centering around (Eui Rieh Tong Go) by Brothers Man Yang and Ghiu Yang Chung
이승연 ( Lee Sung-yeon )
사회사상과 문화 18권 209-243(35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74254

이 글은 18세기 전후 영천지역을 중심으로 활약하였던 정만양·정규양 형제의 『의례통고』를 중심으로 조선 주자학의 전개양상을 추적·분석한 것이다. 정만양·정규양 형제가 살았던 17세기 후반은 영남 남인이 서인과의 정쟁에서 패배하여 정치적으로 몰락한 시기였을 뿐 아니라, 상공업 계층과 신흥지주들의 등장으로 경제적으로도 몰락한 시기였다. 그러나 일부 영남 남인들이 서인세력에 동조하여 자기 기반을 유지하려 하거나 무신란과 같은 급진적인 방법으로 정권 탈취를 기도한 반면, 정만양·정규양 형제는 횡계리로 이주하여 학문에 전념하며 후학양성에 힘썼다. 그들 학문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는 『의례통고』는 당시 예학의 발전과정을 잘 보여 줄 뿐만 아니라, 특히 그들이 새롭게 제작하고자 한 향례와 학례에는 그들이 추구한 주자학적 이상이 담겨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주자학은 <가>에서 <향>·<국>·<천하>로 확대되는 원심론적 질서체제를 구비하고 있다. <가>에 대한 관심은 유교 본래의 것이라 할 수 있지만, 서원건립, 상평창 실시, 향약보급운동 등 그들이 향촌질서의 재편을 위해 쏟은 열정은 특기할 만한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인 재지 사인들의 힘이 급속히 감소되고 수령들의 전횡이 시작되는 18세기, 정만양·정규양 형제가 학례와 향례에 주목한 것은 주자학의 이러한 특성을 잘 반영한 것이라 생각한다. 『의례통고』를 통해 조선 주자학의 전개양상을 추적하고자 함은 이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의례통고』의 전체적인 특성을 개괄하면서 그들의 예학사상이 지니는 사상사적 의의나 위치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한 가지 부언하여 두고 싶은 것은 흔히 일컬어지는 조선에 있어서 주자학의 서민화 내지민중화는 이 정권으로부터 소외된 재지 사인들에 의해 수행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에게 일종의 시대적 과제를 부여하였다는 것, 그것이 또한 주자학이 조선을 지배하는 지배이념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한 원인이었음을 본 논문은 아울러 밝히고자 하였다.

This paper follows and analyzes the aspect of propagation which Josun’s Juja School took, centering around [Eui Rieh Tong Go], the work by the Chung brothers who actively played the part in the region of Young Chun, circa 18th century. The Chung brothers’ contemporary, second-half 17thcentury was not only the period in which Young Nam Southerners suffered the downfall in the political struggle, but also the time in which they suffered the economic ruin, largely due to the ascension of the commercial and manufacturing classes, and of the nouveau-landowners. While some of the Young Nam Southerners attempted to maintain their base by joining the Westerners, or sought to seize the political power via the radical method of Mu Shin Ran [military coup d’etat], the Southerners emigrated to Hoeng Gieh Ri, and there they focused on academia and endeavored to raise the younger generation of scholars. Eui Rieh Tong Go may be assessed as the crystallization of their study, and it illustrates so well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ntemporary Rieh Study, and their works, Hyang Rieh and Hak Rieh, which they strived to establish anew, and especially for the fact that they contain the ideals of Juja School, they are worthy of the attention. Juja School is structured with the concentric order that expands from Family to Region, to Nation, and to Universe. Although its interest in Family is original to the Confucianism, the fact that Juja poured out his passion on the establishment of Academy [Seo Won], the operation of Sang Pyung Chang, and the popularization of the Regional Medicine [Hyang Yak], in order to restructure the regional order, is worth special mentioning. It is understood that the reason why the Chung brothers focused on Hak Rieh and Hyang Rieh in the 18th century, in which the traditional local noblemen’s power rapidly declined and the despotism of the appointed officials began, reflected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Juja School of thought.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is paper follows Josun Juja School’s aspect of propagation. Therefore, the present paper seeks to summarize the overall specialties of the Oui Rieh Tong Go, and to re-illuminate the Chung brothers’ Rieh School’s historical significance or the location in history. To add one point, it is held that Josun’s commonly spoken Juja School’s commonerization or popularization was carried out by the defeated Yang Ban [Scholar Class]. The point that the defeated Yang Ban was given the task of the era, and that was one cause that Juja School of Thought could rise as the hegemonial ideology of Josun, is attempted by this paper to clarify.

Ⅰ. 서언
Ⅱ. 『의례통고』의 성립 배경
Ⅲ. 『의례통고』의 특성과 의의
Ⅳ. 결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