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13.209
3.149.213.209
close menu
KCI 등재
‘목적에 따른 독서’의 교육 내용 재구조화 연구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Purpose of Reading
길호현 ( Kil Hohyun )
한국언어문화 66권 61-100(40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59373

이 연구는 독서의 목적을 유형화하고 이를 교육 내용으로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간 독서교육에서는 목적에 따른 독서의 종류를 정보전달, 설득, 친교로 제시해 왔다. 그러나 이는 텍스트 생산자의 목적이다. 독자는 이와는 다른 목적으로 텍스트를 이해한다. 독자가 텍스트를 읽는 목적을 독서의 동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독서의 동기는 계기와 목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를 읽게 되는 계기와 텍스트를 읽는 목적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Schutz의 현상학적 동기 이론을 도입하여 독서의 목적을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독서의 목적은 인지적 목적, 교양적 목적, 정서적 목적, 관계적 목적으로 분류되었다. 각 목적별로 독서 교육을 위한 내용을 구체화 하였다. 본 연구는 ‘목적에 따른 독서’에서 ‘목적’의 주체가 텍스트 생산자가 아니라 텍스트를 이해하는 독서 주체가 되어야 함을 주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독서 행위의 목적을 유형화함으로써 독서 교육의 실제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y aims to model the purpose of reading and to create educational content. So far, reading education has presented the types of reading information, persuasion and friendship. However, this is the purpose of the text producer. The reader understands text for a different purpose. The purpose of reading text for the reader is to read it. However, motivation for reading can be distinguished for motivation and purpose. The study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trigger for reading text and the purpose for reading text. To this end, Schutz’s theory of phenomenological motivation was adopted to categorize the purpose of reading. The analysis found that the purpose of reading was divided into cognitive, cultural, emotional, and relational objectives. The contents for reading education were specified for each purpo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reading for purposes’ argued that the subject of ‘purpose’ should be a reading body that understands text, not a text producer.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securing the practical skills of reading education by standardizing the purpose of reading activities.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선행 연구 분석
3. 읽기 목적의 분류 기준 설정
4. 읽기 목적에 따른 교육 내용 재구조화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