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88.130
3.145.88.130
close menu
KCI 등재
우리의 도시를 기억할 권리: 홍콩의 도시 문화유산 보전을 사례로
The Right to Remember Our City: Urban Heritage Conservations in Hong Kong
한지은 ( Ji-eun Han )
DOI 10.21189/JKUGS.21.2.4
UCI I410-ECN-0102-2018-300-004038686

본 연구의 목표는 중국으로 회귀된 이후 홍콩에서 문화유산이 도시 정체성의 형성에 미친 영향과 나아가 도시개발의 맥락 속에서 홍콩의 다양한 기억의 장소들이 도시의 문화유산으로서 어떻게 (재)구성되어 왔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2000년대 이후부터 초기 공공임대주택단지를 유스호스텔과 박물관으로 전환한 섹킵메이 공공 임대주택, 홍콩의 기층생활문화가 남아있지만 재개발로 철거위기에 놓인 냥틴성벽마을, 홍콩특색의 도심 공동주택인 통라우의 보전과 관련한 완차이 지역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오늘날 홍콩인들은 체제 전환 및 도시 경제의 변화 속에서 문화유산의 보전 활동을 통해 도시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나아가 도시를 기억할 권리를 요구하기 시작했음을 확인했다. 홍콩의 사례는 식민주의와 냉전과 관련하여 복잡한 장소 기억이 공존하는 한국의 도시에서 벌어지고 있는 문화유산 보전, 도시재생과 젠트리피케이션 등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examines relationships of cultural heritage and city identity after Hong Kong’s handover to mainland China from British rule in 1997. Moreover, it reviews which places are based on collective memories and identities of Hong Kong people. Since the 2000s, old public housing estates in Shek Kip Mei were changed to hostels and museums, and Nga Tsin walled village and its folklore culture were at risk of demolition because of redevelopment, and that Hong Kong-style tenament buildings in Wan Chai were targets of urban heritage conservation movements. Theses cases tell us that Hong Kong people are constructing identity, and demand their rights to remember the city. These have many implications for heritage conservation, urban regeneration and gentrification in Korean cities with complicate memories about colonial times and cold war.

1. 들어가며
2. 홍콩의 문화유산과 도시 정체성
3. 홍콩의 도시 문화유산 보전 사례
4. 맺으며: 우리의 도시를 기억할 권리
註
文 獻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