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201.197
13.59.201.197
close menu
KCI 등재
스마트폰 이용자의 시간관과 미디어 멀티태스킹 이용행태 간의 관계 탐색: 20∼50대 스마트폰 이용자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Perspective and the Use of Media Multitasking: Focusing on Smart-phone Users in Their 20s∼50s
최미경 ( Mi Kyung Choi )
DOI 10.23875/kca.26.3.11
UCI I410-ECN-0102-2018-300-003757695

본 연구는 시간관이 미디어 멀티태스킹이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과거긍정, 과거부정, 현재숙명, 현재쾌락, 미래지향시간관 중에 개인이 지향하는 시간관에 따라 태도, 사고, 행동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시간관(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 ZTPI)을 측정하고, 미디어 멀티태스킹 이용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6년 11월 8일부터 10일까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20대∼50대 내국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650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미디어 멀티태스킹 이용은 20대에 가장 많고 나이가 많아질수록 스마트폰 멀티태스킹 이용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 멀티태스킹은 요인 분석을 통해 ‘문자중심 멀티태스킹’과 ‘음악중심 멀티태스킹’ 2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시간관과 미디어 멀티태스킹과의 관계에서, ‘현재쾌락적 시간관’과 ‘과거긍정적 시간관’은 미디어 멀티태스킹 2개 하위요인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운명적 시간관’은 문자중심 멀티태스킹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과거부정적 시간관’은 음악중심 멀티태스킹에만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반면에, ‘미래지향적 시간관’은 멀티태스킹 이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현재쾌락적 시간관, 현재운명적 시간관, 과거부정적 시간관은 기존 연구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나타나 미디어 멀티태스킹 이용행동의 예측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미래지향적 시간관은 미디어 멀티태스킹 이용의 예측 요인으로 작동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연령대에 따른 미디어 멀티태스킹 이용의 차이를 확인하고, 개인의 시간관이 미디어 멀티태스킹 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the time perspective of users in their 20s∼50s influences their use of media multitasking. According to preceeding studies, some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ir attitudes, thinking ways and behaviors relying on an individual’s pursuing time-perspective among past positive, past negative, present fatalistic, present hedonic, and future oriented time perspectives. This study intended to measure smart-phone users’ time perspectives through the ZTPI (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ime perspective and their use of media multitasking.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local residents using a smart-phone in their 20s∼50s from the 8th to the 10th of November, 2016, and total 650 respondents’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data, the use of media multitasking is the highest in the 20s and the older the more, the lower the use of smartphone multitasking. In addition, media multitasking was extracted from two factors of “Text-focused Multitasking” and “Music-focused Multitasking” through factor analys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perspective and the media multitasking, it was shown that the “present-hedonic” and “past positive” time perspectives positively influenced both sub-factors of media multitasking. In addition, “present-fatalistic”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ext-focused multitasking”, and “past negative” time perspective influenced only “music-focused multitasking”. Contrary to that, the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media multitasking. As a result, the present hedonic, present-fatalistic, and past negative time perspectives were identified as predictors of media multitasking behavior. However,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did not work as predictors of media multitasking. This study confirmed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media multitasking by age group, and found that the individual’s time perspective may affect the use of media multitasking.

1. 문제 제기 및 연구의 목적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문제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