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31.209
3.141.31.209
close menu
KCI 등재
동사에 접속하는 “고토다(ことだ)”의 의미와 기능 - 의미와 기능의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
The Meanings and the Functions of "kotoda" with a Verb-Investigations on Derivative Relations in the Meanings and the Functions of "kotoda"-
방윤형 ( Bahng Yoon-hyung )
UCI I410-ECN-0102-2018-800-003750126

본 논문은 동사에 접속하는 “고토다(ことだ)”의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의미와 기능의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분석, 고찰 한 것이다. 동사에 접속하여 모달리티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고토다(ことだ)”에 대해서는 종래에 연구사례가 많이 있으나, 실제의 예문을 분석하여 형식명사술어문에서 파생적 용법으로 추상화되는 이행에 대하여 고찰한 연구는 종래에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형식명사술어문을 나타내던 것이 추상화되어 모달리티 형식으로 이행하는 경로에 대하여 연속성의 관점에서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형식명사술어문의 용법은 형태적으로는 「AはBことだ」를 기본으로 하며 그밖에 총 5가지의 형태가 보인다. 이 형태는 A가 나타내는 개념의 질을 규정한다. 그리고 이 형태의 A에는 최상급의 표현이 사용되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이 형태는 구문적으로 자유롭다고 말할 수 있다. 둘째, 파생용법으로의 이행은 다음과 같이 ① 추측을 나타내는 경우, ② 감탄을 나타내는 경우, ③ 충고를 나타내는 경우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모달리티 형식으로 이행한 경우는 “고토다(ことだ)”의 형태가 고정화되며 특별한 의미와 기능을 획득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동사에 접속하는 “고토다(ことだ)”는 형식명사술어 문에서부터 모달리티 형식으로의 이행이 확인가능하며, 이 이행에는 연속성이 보인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meanings and the functions of “kotoda” connected with a verb using derivative relationships. Although there were quite a lot of previous research in the past about the "kotoda" which has the meaning of modality by connecting to a verb, almost none of literature examined the abstraction transitions from a predicative sentence with pseudo noun to the derivative usage by analyzing practical examples. In this paper, the objective is to describe the transitions by abstracting from a predicative sentence with pseudo noun to a modality format in terms of continuit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asic usage of the predicative sentence with pseudo noun is morphologically based on "A wa B kotoda", and there are total five forms including the basic and four other forms. These forms define the quality of the concept that “A” represents. Superlative expressions are commonly utilized in “A” with these forms. Those forms are also syntactically free. Second, the transitions to the derivative usage can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cases: ① to express conjecture, ② to express exclamation, and ③ to express advice. In the transitions to the modality format, it is observed that the forms of "kotoda" have been fixed, and thus special meanings and functions are obtained. In conclusions, we identify “kotoda” as the transitions from the predicative sentence with pseudo noun to the modality format while it is connected with a verb, and these transitions significantly show the meaning of continuity.

1. はじめに
2. 先行硏究と考察方法
3. 形式名詞述語文の用法
4. 派生用法への移行
5. まとめと今後の課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