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24.134
3.141.24.134
close menu
KCI 등재
한국 체류 난민의 사회적응을 위한 정책적 방향 탐색: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Policy Direction for Social Adaptation of Refugees Staying in South Korea: Focused on Differences between Groups
손주희 ( Juhee Sohn ) , 정하나 ( Hana Jung )
UCI I410-ECN-0102-2018-300-004057872

본 연구는 한국으로의 난민신청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난민을 한국사회 공동체 일원으로 인식한 사회통합 관점의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난민 지원의 효율적 방향성과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난민들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네트워크, 사회적 차별로 선정하고 이들 요인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실증ㆍ분석하고자 하였다. 집단을 구성함에 있어 난민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국적, 체류자격, 외상경험, 종교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하위 집단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난민 집단 내 각각의 하위 집단은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난민의 하위 집단 중 사회적응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은 소득, 종교, 체류자격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가 가지는 함의를 바탕으로 다각적인 논의를 하였다.

A rise in foreigners staying in South Korea brings discussion on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in the Korean society. Multifaceted understandings on refugees are required for effective social integration. Although the number of people who apply for refugee status increases annually, attention to refugees is extremely inadequat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efficient direction and policy based on the awareness that policy in terms of social integration that recognizes them as members of community in the Korean society. To meet this purpose, it not only classified refugees who are subjects of a new social integr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nd age, but classified subgroups in accordance with various criteria in consideration of distinctive features as refugees such as qualification for sojourn and traumatic experience, and further teste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major influential factors or social adjustment. The study revealed that respective subgroup in refugee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self-efficiency, stress, network, and discrimination in the Korean society. Based on these findings, it proposed policy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