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79.70
3.133.79.70
close menu
KCI 등재
다문화사회 전문가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요인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Factors for Curriculum Reorganiz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조경훈 ( Kyunghoon Cho ) , 김진명 ( Jinmyoung Kim )
다문화와 평화 12권 2호 121-142(22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4057827

다문화사회 전문가의 육성이 이루어진지 10년이 지나고 있는 현시점에서, 그간의 운영 현황 및 한계를 확인하고 개선을 위한 자료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서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현재 다문화사회 전문가 교육과정이 사회에서 요구하고 있는 역할을 수행하기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자격을 갖춘 전문가가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고 있는 현실에서, 교육 과정을 개편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기 위한 본 연구가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 전문가 제도의 개선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본적인 자료로서 필요한 역량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 이루어졌다. 다문화사회 전문가 및 교육생의 인식을 수집하여 필요한 역량을 탐색적으로 분석한 결과 9개의 역량요인이 도출되었다. 다문화 실천기술, 문화 다양성, 정책전문성, 한국역사 이해, 법률전문성, 현장상담 역량, 한국사회 이해, 타문화 이해, 연구역량이 도출되었다. 즉, 다문화에 대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역량과 우리나라의 생활에 필요한 각종 제도 및 지식에 대한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와 함의를 바탕으로 추후 다문화사회 전문가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ast operating conditions and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and to produce data for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iculum of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is not enough to fulfill the roles required in society. The reality that limited scope of qualified professionals is limited also makes it difficult to operate the multicultural social expert system properly.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social professionals and students, the following competence factors were derived: multicultural practice skill, understanding cultural diversity, policy expertise,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legal expertise, field counseling competence,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research capability. It is hoped that discussions on the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will be made actively using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Ⅰ. 서론
Ⅱ. 다문화사회 전문가 교육과정
Ⅲ. 역량요인 실증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