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198.21
3.128.198.21
close menu
KCI 등재
≪우먼하우스 Womanhouse≫(1972) ― 여성 미술과 장소특정적 설치 미술의 선례
Rereading Womanhouse (1972): A Pioneer of Feminist Art and Site-specific Installation
김진아 ( Kim Jina )
인문논총 75권 3호 173-220(48pages)
UCI I410-ECN-0102-2018-000-003953434

이 글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1972년 1월 20일부터 약 6주간 공개된 ≪우먼하우스≫의 기획 과정과 작품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우먼하우스≫는 주디 시카고와 미리엄 샤피로가 캘리포니아 예술대학의 페미니즘 미술 프로그램에 참여한 21명의 대학생과 함께 큰 폐가를 빌려직접 집을 수리하고, 총 18개의 공간을 이용해 ‘가정’ 내 여성의 경험, 역할, 문제의식을 표현하는 장소특정적 작업을 설치한 프로젝트이자 전시였다. 공개 당시 전국적으로 조명받았던 ≪우먼하우스≫는 전시후 집이 철거되면서 설치 작품도 대부분 폐기되었다. 이후 제1세대 페미니스트 미술의 대표 사례로 거론되기는 했으나, 제1세대의 ‘본질주의’적 성격에 대한 적대적 분위기 속에서 상세한 연구로 진척되지는 못했다. 근래 들어 테마 발두치를 필두로 비평적 논의가 재개되면서, 제1세대의 ‘본질주의’와 제2세대의 ‘구성주의’가 복합적으로 발견되는 사례로 재고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도 이러한 시각에 일부 동조한다. 그러나 단지 여성 미술에서의 본질주의와 구성주의 간의 문제를 넘어, 보다 많은 작품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우먼하우스≫에서 발현된 다양하고 때로는 모순적인 여성의 경험과 여성성에 대한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또한 여성주의적 관점을 넘어 오늘날의 여러 미술 작업방식과 형식을 예견했던 실험적인 면모들도 함께 짚어감으로써, 그 역사적 의미와 비평적 성격을 재조명하였다. 이러한 면모들로는 협업 과정, 폐가를 활용한 장소특정적 설치, 집수리와 바느질·자수·장식 등을 아우르는 성별 분업 해체적인 작업 방식, 다양한 융·복합적인 매체와 장르의 활용 등을 들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Womanhouse, which was a project open to the public for about four weeks starting from January 30, 1972 in Los Angeles, USA. It was both an installation and an exhibition created by Judy Chicago and Miriam Schapiro with 21 college students affiliated with the Feminist Art Program at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They borrowed a large abandoned house, repaired it by themselves and created site-specific works exploring women’s experiences, roles, and awareness in the home. Womanhouse received national attention when it was open, but because the house was demolished shortly after the exhibition, most works were destroyed. Since then, it has been referenced as a representative work of first-generation feminist art; however, due to the negative associations with this era of art as “essentialist,” researchers have not produced detailed scholarly studies of Womanhouse. Recently, critical discussion has been expanded through the writings of several scholars and artists, a related exhibition in 2009, and a website. Furthermore, Womanhouse is beginning to be reconsidered as a combination of first generation “essentialism” and second generation “constructionism.” This paper, in part, agrees with this view. On the one hand, rather than seeing the installation as just a bridge between “essentialism” and “constructivism” in feminist art, this paper carries out a detailed examination of individual works in the Womanhouse exhibit and investigates implications for and against female experiences and the construction of femininity. On the other hand, beyond feminism, this article re-reads Womanhouse through its historical significance and factors critical to society as well as contemporary art world. By examining its experimental attributes, this paper argues that the installation anticipated various characteristics found in contemporary art: 1) the collaborative nature of work; 2) blurring the line between men’s and women’s work in the contrast between house repair vs. sewing, decorating, embroidery, etc.; 3) site-specific installation in an abandoned house; 4) mixing various media and genres.

1. 들어가며
2. ≪우먼하우스≫의 태동과 준비 과정
3. 우먼하우스 전시 개최 ― 작품과 퍼포먼스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