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8.110
18.116.8.110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반추에 대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Social Anxiety of Adolescents: Moderated Mediation of Self-Compassion on Rumination
박지혜 ( Park Ji-hye ) , 이주영 ( Lee Joo-young )
상담학연구 19권 4호 87-107(21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3792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자비라는 보호요인이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반추의 효과를 조절할 수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고등학생 426명(남자 218명, 여자 208명)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자비, 반추, 사회불안에 관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반추의 매개효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반추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반추의 매개효과에 대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자비, 반추, 사회불안에 대한 성차를 확인한 결과 남학생의 자기자비가 여학생의 자기자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자비, 반추, 사회불안이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이러한 상관은 전반적으로 여학생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반추가 부분매개하였다. 넷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반추의 관계를 자기자비가 조절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여학생에서만 유의했다. 다섯째,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반추가 부분 매개하며, 이 때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반추의 관계를 자기자비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종적으로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여학생에서만 유의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높은 사람들이 쉽게 경험하게 되는 사회불안에 대해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른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여자 청소년은 사회불안에 대해 자기자비가 치료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self-compassion can moderate the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in adolescents. Based on data of 426 high school students (218 males and 208 females), the mediation effect of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rumina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mediation effect of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compassion of 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seco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elf-compassion,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these correlations were generally stronger in female students; third, rumination w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rumination was moderated by self-compassion, and this result was significant only in female students;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was partially mediated by rumin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rumination was moderated by self-compassion. Therefore, the effect of moderated mediation was verified, and this result was significant only in femal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ifferent therapeutic interventions are required by gender for the social anxiety of people with a high tendency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that the therapeutic use of self-compassion may be particularly effective for female adolescents.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