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200.66
3.138.200.66
close menu
KCI 등재
고령화 사회를 위한 도시디자인연구 -보행환경을 중심으로
A Study on City Design for the Aged Society - Focused on walking environment
김현선 ( Hyun-sun Kim )
한국디자인포럼 60권 27-37(11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4219366

연구배경 고령 인구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은 이동의 자유로운 삶으로 그 주된 원인은 교통과 연계된 보행환경에서의 안전과 소통 공간에서의 안전문제로 인한 사회적 고립, 스마트기기 확대에 따른 정보의 고립이다. 현재 국토의 도시디자인, 공공디자인에 고령 인구에 대한 배려가 없고 이로 인한 고령 인구의 소외감이 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준다. 연구방법 직접체험, 설문조사, 워크숍을 통해 현재 고령인이 느끼는 불편함과 미래 고령인이 바라는 도시의 이미지,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고령 친화 도시디자인 기본방향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조사결과 거리와 공원에서 모두 안전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보행환경에서 횡단보도, 교차로 등 차량과의 접점에 대한 검토와 개선이 우선 시급하며 공원은 일반 사용자를 위한 공원과 차별화된 공원디자인이 필요하다. 전문가 워크숍 결과 고령화 시대 도시환경에서 느끼는 소외감의 문제와 도시이용의 문제, 도시기능 인지의 문제, 도시정보와 자신과의 소통단절 문제를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현재 디자인개발을 하는 주요 세대가 젊은 층이고 그들은 고령화에 대해 실제로 예측하기에 한계가 있다. 보행환경, 공원에서의 안전의 문제와 소외감을 극복하기 위한 소통의 장소인 공원에 대해 새로운 ‘맞춤형 설계’가 필요하다.

Background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freedom of movement. it's main cause is social isolation resulting from safety problems and communication space in traffic and gait environment and information due to social isolation due to the expansion of smart devices. At present,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urban design and public design in the country. and the alienation of the aged population affects their quality of life.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asic direction of Age-friendly city design through actual-experience, surveys and workshops. It base on inconveniences of the elderly and the images and ideas of city for future. Result As result of a survey of research, the content main is safety and in streets and parks. In the walking environment, it is urgent to review and improve the contact points with the vehicles such as pedestrian crossings and intersections. the park needs to design differentiated of public users. Result of the expert workshop, it recognized that the problems of alienation and urban use in the urban environment, the problem of urban functioning, and the problem of disconnecting communication with city information were the biggest problems. Conclusion Currently, the main generation of design development is young, and they have limited realistic predictions about aging. A new 'customized design' is needed for the park, which is a place for communi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walking environment and safety in parks and alienation.

1. 서 론
2.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이해
3. 사용자 조사
4.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전문가 워크숍
5.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