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202.214
3.15.202.214
close menu
KCI 등재
「유전자원의 접근·이용 및 이익 공유에 관한 법률」의 환경법적 의의와 한계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Act on Access to, Utilization and Benefit-Sharing of Genetic Resources”
박종원 ( Park Jong Won )
환경법연구 40권 2호 225-261(37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4050979

이 글은 나고야의정서의 국내이행을 위한 「유전자원의 접근·이용 및 이익 공유에 관한 법률」(이하 “유전자원법”이라 한다)의 본격 시행을 목전에 두고 있는 시점에서, 유전자원법이 국내 유전자원에 대한 주권적 권리를 제대로 보장하고 있는 것인지, 그리고 나고야의정서에 따른 당사국으로서의 의무를 제대로 준수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갖추고 있는지 등의 두 가지 측면에서, 유전자원법의 주요내용을 분석·평가함으로써 그 한계를 지적하고 앞으로의 법적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유전자원법의 제정은 국내 생물유전자원에 대한 주권적 권리를 행사하기 위한, 그리고 나고야의정서의 국내이행을 통하여 국제법상의 의무를 준수할 수 있기 위한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는 국내 생물 다양성의 보전은 물론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보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통로임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법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적지 않은 한계를 안고 있는바, 이에 관한 입법적 해결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국내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이용 및 이익 공유와 관련하여, (i) PIC, 즉 사전통 고승인이 아니라 신고제를 택하고 있고 이것이 수리를 요하지 않는 신고로 해석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 (ii) 상호합의조건 체결 의무가 법적 강제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 (iii) 국가책임기관 및 관계법령의 분산으로 국내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 공유가 저해될 수 있다는 점, (iv) 기금 등 재원확보수단을 제대로 갖추고 있지 못하고 제한·금지 대상 유전자원의 불법 이용에 따른 이익을 몰수할 수 있는 근거가 없다는 점 등은 유전자원법이 과연 국내 유전자원에 대한 주권적 권리의 행사, 그리고 이를 통한 국내 생물다양성 보전에 있어서 적지 않은 한계를 안겨주고 있다. 해외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이용 및 이익 공유에 관련해서도, (i) 국내 이용자의 절차준수나 이익공유의 강제성이 결여되어 있고 절차준수신고 의무위반에 대한 제재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 (ii) 절차준수조사가 비권력적 조사에 머물러 있다는 점, (iii) 절차준수조사 결과에 따른 유일한 조치가 권고뿐이라는 점, (iv) 국가 점검기관이 과도하게 분산 지정되어 있다는 점 등은 우리나라가 나고야의정서에 따른 당사국으로서의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는 데 상당한 장애로 작용할 수 있다.

The 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Nagoya Protocol”) became effective on 12 October 2014. In 2017, Korea ratified the Protocol and enacted the Act on Access to, Utilization and Benefit-Sharing of Genetic Resources for domestic implementation of the Protocol. This study made a legal analysis of main contents and issues of the Act and showed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in terms of the exercise of sovereign rights over biological resources and compliance of obligation under the Protocol. With regard to access to, utilization and benefit-sharing of domestic genetic resources, the following limitations are found in the Act: First, it requires prior notification, rather than prior informed consent; Second, the establishment of mutually agreed terms is not legally binding; Third, there are multiple national competent authorities, and the relevant laws are fragmented; Fourth, it lacks sufficient funding for biodiversity. With regard to access to, utilization and benefit-sharing of foreign genetic resources, the following limitations are found in the Act: First, the compliance with procedures that required by the country providing such genetic resource and th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utilization of foreign genetic resource is not legally binding, and the sanctions on breach obligation to report are not strict enough; Second, the investigation of compliance with procedures has no legal force; Third, the only thing the checkpoints can do after the investigation is recommending to compliance with procedures; Fourth, there are multiple checkpoints.

Ⅰ. 들어가며
Ⅱ. 유전자원법의 주요내용
Ⅲ. 유전자원법의 의의와 한계
Ⅳ. 나오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