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38.125
18.218.38.125
close menu
KCI 등재
중등 특수교사의 중도·중복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
Perception and Improvement Way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고혜정 ( Koh Hye-jung ) , 이미숙 ( Lee Mi-suk ) , 박재국 ( Park Jae-kook )
DOI 10.35361/KJID.20.3.3
UCI I410-ECN-0102-2018-300-004028300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실태와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조사를 위하여 중등특수교사에게 설문지 250를 배부하였으며, 총 221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들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진로·직업교육은 단순노무직에 한정되어 있다고 하였고,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시행하고 있는 진로·직업교육은 일상생활 기능교육, 개인-사회간 기능교육, 직업적 기능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셋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은 직업교육을 표시과목으로 전공하지 않은 타교과 담당의 중등교사들이 80% 이상 실시하고 있었고, 넷째,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은 지역사회 통합, 타인의 도움 최소화, 여가시간 활용 등을 위해서 진로·직업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다섯째, 특수교사들은 학교에서의 진로·직업교육이 이들의 졸업 후 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진로·직업교육의 시작 시기는 중학교 또는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실시되어야한다고 하였다. 또한, 특수교사들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은 기초작업 기술 교육과 모의체험, 현장체험, 직장체험 등을 통한 체험식 교육을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앞으로의 진로·직업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status of students ' career and job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special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For the purposes of this survey,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econdary special teachers, and a total of 22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special teachers said that career and job education currently in effect is limited to simple work, and second, career and job education provided to students was providing functional educ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and vocational education. Thir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was conducted more than 80 percent by secondary teachers in other departments who did not major in vocational education. Fourth, most special teachers said that career education is necessary for community integration, minimizing assistance from others, and making use of leisure time. Fifth, special teachers said that career and job education in schools significantly affects their post-graduate lives, and the beginning of career education should take place in the middle school or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special teachers stressed that students' career and career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hrough basic work skills, field and work experience program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tents and direction of future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Ⅰ. 연구의 필요성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