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148.124
18.222.148.124
close menu
KCI 등재
놀이는 어떻게 윤리적 주체를 만드는가 - 제4차 산업 혁명 시대에서의 인간의 욕망과 놀이의 관계에 관한 탐색 -
How does play create ethical subjects.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desire and pla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오승현 ( Oh Seung-hyeon )
시대와 철학 29권 3호 125-161(37pages)
DOI 10.32432/KOPHIL.29.3.4
UCI I410-ECN-0102-2018-100-003701162

본 연구는 놀이가 욕망하는 인간을 어떻게 윤리적 주체의 길로 접어들게 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놀이가 주체 생산 양식으로서 갖는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주어진 질서로서의 상징계를 초과하는 인간의 욕망과 욕망의 운동 원리를 라캉의 이론을 빌어 개괄한다. 라캉은 대상 a라는 개념을 통해 욕망하는 인간이 상징계와 실재계에 어떻게 관계하며 윤리적 주체로 나아갈 수 있는지 그 단서를 제시한다. 이러한 대상 a에 대해 놀이가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그 이론적 실마리를 위니캇의 놀이 이론에서 찾고, 이의 윤리적 의미를 실러의 미학 이론으로 보충한다. 위니캇은 아이의 행위를 분석하면서 놀이가 자아와 현실의 만남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실러는 그의 미적 교육론에서 소재 충동과 형식 충동의 화해 지점으로서 유희 충동 개념을 제시하며, 놀이가 인간의 자연적 본능과 경향성을 이성적 진리와 도덕적 실천의 요구와 조화시킬 수 있는 지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놀이를 통한 미적 체험은 인간이 규칙에 지배됨으로써 역설적으로 자유의 감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도덕적 감정을 예비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이 칸트를 참조한 실러와 하위징아의 입장이었다. 역사 이후를 살아가는 인간에게 놀이는 인간으로 하여금 형식에 종속되어 욕망의 힘을 투여하게 하고 윤리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최후의 인간’을 ‘최초의 인간’으로 탈바꿈시키는 주체 생산 양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human beings enter into the path of ethical subject through play, and to clarify the meaning of play as a form of subjectifi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is purpose, we first introduce the theory of movement of human desire and desire beyond the symbolic system as a given order with the theory of Lacan. Lacan suggests a clue as to how a desiring human being can relate to the symbolic and the real through ethical subject. Lacan shows how humans desire through ʻobjet aʼ to relate to the symbolic and the real, It shows the process of changing into an ethical subject. We find the theoretical clu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objet a in Winnicott 's play theory and supplement his ethical meaning with Schiller' s aesthetic theory. Winnicott analyzed that play plays a role in offsetting the impact of self and reality. Schiller, in his aesthetic education theory, presented the concept of play impulse as a point of reconciliation between material impulse and form impulse, and noted that play can harmonize human natural instinct and tendency with the demands of rational truth and moral practice. The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play allows the human being to control moral emotions by being paradoxically dominated by rules and having a sense of freedom. This was the position of Shiller and Huizinga who referred to Kant. Play can be a form of subjectification that transforms 'the last human being' into 'the first human'. Play allows human beings to be subordinated to form, to enforce the power of desire and to enable ethical growth.

1. 4차 산업 혁명과 최후의 인간
2. 상징 질서에 포섭되지 않는 욕망
3. 중간 세계와 욕망의 운동
4. 유희 충동과 놀이
5. 놀이에서 자유의 경험
6. 놀이와 최초의 인간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