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25.2
3.138.125.2
close menu
KCI 등재
찰스 테일러의 개인주의 정당화에 관하여 - 개인주의의 재정의, 그리고 ‘대화’ 개념을 중심으로 -
On Charles Taylor’s Justification of Individualism - Around the Redefinition of Individualism and the Concept of ‘Conversation’ -
이병태 ( Lee Byeong Tae ) , 우대식 ( Woo Dae Sik )
시대와 철학 29권 3호 163-198(36pages)
DOI 10.32432/KOPHIL.29.3.5
UCI I410-ECN-0102-2018-100-003701177

찰스 테일러는 현대 정치의 철학적 원리를 둘러싼 비판적 논쟁, 이른바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논쟁에서 일종의 개념적 착종을 발견하고, 이를 자신의 논의 주제로 삼는다. 그가 보기에 이 착종은 ⒜존재론적 이슈와 ⒝옹호론적 이슈의 혼동에서 발생한다. ⒜와 관련해서는 ‘원자론’과 ‘전체론’이 대립하며, ⒝에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가 맞서는데 이 입장들의 지지와 논박이 간혹 서로 다른 이슈로 부당하게 넘어감으로써 일종의 ‘동문서답’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특히 그는 이러한 구분을 통해 원자론과 개인주의를 엄격하게 구분하고자 한다. 부정적인 뉘앙스의 개인주의를 ‘원자론’이라는 별도의 개념으로 구분함으로써 ‘개인주의’에 대한 소모적 비판의 여지를 차단함과 동시에 ‘자기진실성’에 바탕을 두는 진정한 개인주의를 옹호하려는 것이다. 나아가, 이렇게 재정의된 ‘개인주의’가 ‘소통’, ‘협력’, ‘참여’와 같은 계기와 유기적임을 밝혀, 정치적 역동성의 토대가 될 수 있음을 역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특별한 개념이 바로 ‘대화’다. 하지만, 그의 개념적 구분에 자의성의 문제가 잔존하고, ‘대화’ 개념 또한 공적 실천의 당위성을 설명하지는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정치철학의 핵심적 논쟁이 개념적 혼란의 방치 위에서 지속되며 확산되고 있기 때문에, 그의 논구는 이에 대한 문제제기 및 환기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Charles Taylor finds a kind of conceptual complexity in the critical debate over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of modern politics, the so-called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debate, and makes it his own theoretical topic. In his view, this complexity arises from the confusion of (a) ontological issue and (b) advocacy issue. In relation to (a), there is a conflict between 'atomism' and 'holism', and (b)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re opposed to each other. But a kind of ‘cross-purpose’ have happened, for the support or the dispute are sometimes overtaken by different issue. Through this categorization, he seeks to strictly distinguish between atomism and individualism. By separating the negative nuance of individualism into a concept of 'atomism', he tries to defend the genuine individualism based on 'self-authenticity', while blocking the possibility of wastine criticisms of 'individualism'. In addition, he emphasizes that, by telling the 'individualism' redefined in this way is harmonious with the factors such as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which could be the basis of political dynamism. A special concept for his thought like that is conversation. However, the problem of arbitrariness remains in his conceptual categorization, and the concept of 'conversation' does not explain the justification of public practice. Nevertheless, since the core argument of contemporary political philosophy has been continuing and spreading on the conceptual confusion, his work has the meaning to make all-concerned aware of this problematic situation.

1.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논쟁의 기원과 개념적 모호성
2. ‘자기진실성’과 개인주의의 재정의
3. 개인주의와 원자론의 변별
4. ‘개인주의’의 확장과 ‘대화’ 개념
5. 구분과 분류의 문제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