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3.72
3.149.233.72
close menu
KCI 우수
갈등관리 교육효과성과 조직효과성의 영향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강병준 ( Byoung Jun Kang )
UCI I410-ECN-0102-2018-300-004002488

한국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원적인 가치가 높아지면서 정책과정에서 공공 갈등이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정책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갈등을 관리하기 위한 정책 방안의 하나로 갈등관리 전문 교육기관을 지정하여 공공기관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갈등관리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즉, 공공부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공공기관 조직구성원들이 교육훈련을 통해 갈등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고 나아가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등관리 역량강화 교육을 이수한 교육생을 대상으로 갈등관리교육이 효과적인지, 조식성과 향상에 기여했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모형1의 종속변수인 직무만족에 교육성과, 교육효과, 교육추천이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모형2의 조직몰입에 교육성과, 교육효과, 교육추천이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갈등관리 교육효과성과 조직효과성의 영향관계의 매개효과에서 매개회귀효과 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은 갈등관리 교육효과성과 조직몰입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등관리 교육정책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 단계별 갈등관리 교육훈련, 현실성 있는 갈등사례 교육, 바이럴 마케팅을 통한 갈등관리교육 홍보 및 확산, 교육훈련 장려를 위한 기관차원의 성과보상 마련, 현장 실무자 중심의 맞춤형 전문적 갈등교육 등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As Korean society becomes more complicated and pluralistic values become higher, public conflicts are increasing in policy process. The government has appointed a special education institute for conflict management as one of the policy measures to manage the conflicts occurring in the policy process, and has been carrying out the training to strengthen the conflict management capacity for the public organization members. In other words, the ultimate objective i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public organizations to respond to conflict situation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nd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managing various conflicts in the public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was effective for improving students' ability to improve conflict management ability.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Model 1, positive effects of educational performance, educational effect, and educational recommendation on job satisfac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were shown. In Model 2,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ducational outcomes was show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effec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alysis showed that mediating regression effect analysis and sobel test showed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policy,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realistic case of conflict education, promotion and dissemination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through viral marketing,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 And the need for professional and professional conflict edu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교육훈련 효과성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영향 관계 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