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168.172
3.143.168.172
close menu
KCI 등재
서구 시사적 맥락에서 본 윤동주와 프랑시스 잠
Yun Dong-Ju et Francis Jammes dans le contexte de l’histoire poetique de l’Occident
도윤정 ( Do Yoon-jeong )
DOI 10.19115/CKS.26.2.2
UCI I410-ECN-0102-2018-800-003662321

윤동주와 프랑시스 잠 사이의 관련성은 익히 알려진 대로 윤동주의 「별 헤는 밤」에 프랑시스 잠이 직접적으로 언급된 점과 윤동주가 생전에 잠을 탐독했다는 증언에 기반한다. 이를 바탕으로 그간 두 시인을 비교하는 연구가 꽤 발표되었다. 그러나 그 양이 많지 않고 다소 추상적이거나 단편적인 주제 및 소재 비교에 그치고 있어 더 연구할 여지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윤동주가 잠 이외에도 발레리, 지드, 릴케 등을 탐독했다는 증언에 바탕을 두고 잠을 발레리, 지드, 릴케와의 연관성 속에서 살피면서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윤동주와 잠 사이의 다양한 접점들을 연결할 수 있는 핵심적 접점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한계전과 김용민의 연구에서 착안하고 유럽 시인들 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추측한 바, 순수하고 애정 어린 시선으로 시인을 둘러싼 세계와 삶을 정서적 교감의 대상으로 하나하나 있는 그대로 발견하고 그에 섬세하게 반응하며 그것을 수용하는 태도를 두 시인 사이의 핵심적 접점으로 제안하는 것이 요지이다. 이 태도는 윤동주에게서 젊음의 시선으로 드러나며 열거법으로 발현되기도 하는데, 특히 호흡이 길어지는 후기시에서 두드러진다. 이 논의가 윤동주의 시적 변모와 성숙을 설명하는 하나의 단서가 되기를 바란다.

La relation entre Yun Dong-Ju et Francis Jammes est base sur, comme generalement su, le fait que dans le poeme “Preface en vers”, le poete coreen appelle directement Jammes et le temoignage qu’il s’est adonne a la lecture de Jammes. Dans ce contexte, il est produit quelques recherches sur la relation entre deux poetes. Mais la quantite est limite et ces recherches n’ont pas pu aller plus loin que la comparaison plus ou moins abstraite et fragmentaire. Cet article a pour but de comparer ces deux poetes dans une perspective plus large, c’est-a-dire, en regardant Jammes dans ses relations avec Valery, Gide et Rilke, qui sont aussi les poetes lus avec ardeur par Yun Dong-Ju et de trouver le point de contact essentiel qui peut lier globalement les points communs deja suggeres dans les recherches precedentes. En consultant l’article de Han et Kim, nous avons extrait l’attitude de decouvrir et recevoir le monde avec un regard pur et emerveille, objet par objet, etant en sympathie avec celui-ci. Chez Yun Dong-Ju, elle se presente par le regard et l’attitude d’un jeune innocent qui engendrent l’enumeration dans ses derniers poemes.

1. 서론-연구의 출발점
2. 기존 연구의 비판적 읽기-한계전의 연구를 중심으로
3. 서구 시사적 맥락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