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0.160.216
18.220.160.216
close menu
KCI 등재
1920년대 중국시에 나타난 만주 인식 혹은 동북 인식 : 만주 안에서 생산된 조선인문학 연구를 위한 보론
A Study of a Poem Published by Chinese People in Manchuria
고재봉 ( Ko Jae-bong )
DOI 10.19115/CKS.26.2.8
UCI I410-ECN-0102-2018-800-003662381

이 글은 ‘만주’에서 창작된 조선인문학을 연구하기 위한 보론(補論)으로, 지금의 중국 동북지역에서 중국인들이 창작한 시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1920년대 대련을 중심으로 하여 창작된 일군의 작품들을 통하여 우리가 통상 생각하는 ‘만주’라는 이미지가 일본이 강제로 수립한 만주국에 의해서만 만들어진 것이 아님을 밝혀보았다. 중국의 변방인 동북지역에 근대식 도시가 들어서면서 풍경의 변화는 이 지역 사람들의 감정의 구조(structure of feeling)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군벌의 난립과 함께 정치적 공동화(空洞化)를 겪게 되면서 자신들 스스로가 중원 중심의 중국과 멀어져간다는 의식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 당시에 발표된 작품들은 이러한 의식을 잘 반영하였는데, 특히 ‘삼천만 동포’라는 발언을 통해 이미 만주국이 수립되기 이전부터 중원 중심의 중국과는 결별한 ‘마음의 국경선’이 생겼다는 점을 작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국경이 국가의 종속물이 아니라,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이미 가상의 존재로 얼마든지 존재할 수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독특한 동북의식이 만들어진 상태에서, 일본의 침략에 의해 만주국이 건국되면서 만주의 이미지도 창출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만주 안에서 생산된 조선인문학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작품에 나타나는 국경에 대한 이념 문제나, 혹은 농촌이나 도시에 대한 의식 문제 등을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is based on a poem published by Chinese people in Manchuria. Through the poems written by the Chinese, I have found out the concept of Manchuria and how the image came from. We normally think Manchuria is made by Japanese invasion. However, through poem written by the Chinese, I have found that Manchuria had already been existent in 1920’s image. There are following contents in their poem. Appearing modern city was not in the center of China but in the outskirts and there was a huge change in the landscape at that time.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people’s feeling has also changed. Also, experienced from the political chaos, I simply thought to go far away from China. Finally, in the 1920’s poem, the people from Northeast area had already drawn the border line in their mind. Ultimately, Manchuria is made by Japanese invasion on these kinds of northeast area’s consciousness.

1. 들어가며-‘만주’ 관련 텍스트에 대한 보론적 연구의 필요성
2. 중국 동북지역 시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심성의 변화
3. 정치적인 분리와 새로운 중국의식, 혹은 만주의식
4. 나가며-‘동북의식’과 만주 내 조선인문학을 바라보는 관점의 재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