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205.109
3.128.205.109
close menu
KCI 등재
김종삼 시의 공간 연구 : 화자의 내면과 공간 인식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ces in Kim Jong-sam’s Poetry :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inner self and space awareness
박주택 ( Park Ju-taek )
DOI 10.19115/CKS.26.2.11
UCI I410-ECN-0102-2018-800-003662412

김종삼은 1921년 황해도 은율에서 태어나 1953년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그는 정신을 숙련시켜 오랜 숙성의 기간을 거쳐 때가 묻지 않은 세계를 형상화 왔다. 50년대 모더니즘의 세류 속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세계를 구축한 그는 현실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리얼리즘과는 달리 근대성에 대한 문화적이고도 자본적인 반성을 재구조화 하고자 하였다. 공감의 미학이랄 수 있는 농축된 시적 표현과 여백을 통해 상상의 미를 추구하고 있으며 긴 시보다는 단시에서 미적 선취를 얻고 있다. 즉 형식을 응축하여 내용을 확산하는, 말을 아끼면서 의미를 전달하는 김종삼 특유의 어법은 해석의 공동 독서에 기여한다. 김종삼의 공간에 대한 인식은 지속하는 삶과 변화하는 삶 속에서도 다양하게 드러나기보다는 내면을 옮겨 놓은 공간을 통해 드러난다. 즉 사회적 이해나 역사적 이해에 있어 구체적 사건이나 사실을 적시함으로써 핍진한 진실성을 담보하는 관심에 비해, 삶의 과정 속에 다양한 물적 요소들을 총합시켜 사회적 총체로서의 내면을 시에 접근시키고자 했다. 김종삼의 공간에 대한 의식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나누어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분단과 죽음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의 공간을 그린 시, 둘째는 수도원과 예배당과 같은 성스러운 공간을 그려냄으로써 현실 공간과 대비되는 이상공간을 구현해 낸 시, 셋째로는 가난과 고립과 같은 ‘변방 의식’ 혹은 ‘변두리 의식’과 맞물리면서, 결핍에 내재하는 정체감의 부재를 대항적으로 그려낸 시, 넷째는 타자 공간 속에서 배제되는 공간의 차단을 고려의 대상으로 삼아 화자 내면에서 환치되는 평화 공간을 가능성의 공간으로 환기하는 시가 바로 그것이다. 김종삼은 자신이 살고 있는 공간을 ‘참상의 공간’으로 인식하면서, 지상 공간이 ‘좋은 공간’이 되기를 바랐다. 그가 구현해 낸 공간은 곧 인간애와 인류애가 있는 감정과 정신의 공간이었다. 꾸밈없이 시적 성취와 함께 사회적 기원으로서 공간을 생성하고 그 공간 속에서 시원적인 인간 본성이 펼쳐지기를 기대했다. 인간이 살아야 할 공간을 재편성하고 새롭게 재현하여 세상을 살아볼 만한 가치로 만든 것은 전적으로 김종삼 내면의 심성에서 비롯한 것으로 이는 이미 그 자신 성스러운 세상의 공간이었다.

Kim jong-sam was born in Eunyul, Hwanghae-do in 1921 and began his literary career in 1953. He has trained his mind and constructed the purity poetic world through long matured time. In the 1950s, he established his own unique world amid the trickle of modernism, and unlike realism, which actively embraces the problems of reality, he wanted to reinvestigate cultural and capitalist reflection on modernity. He pursued imaginary beauty through concentrated poetic expression and margins, which can be called the aesthetics of empathy, and achieved aesthetic pre-emption in a short poem than long one. Namely, Kim Jong-sam’s unique expression, which dispense words and convey meanings by compressing forms, contributes to the shared reading of interpretations. Kim Jong-sam’s perception of the space is revealed through a space that moves inside rather than through a variety of aspects in a continuous and changing life. in other words, He try to approach to the poetic inside which summed up in the whole life by the various physical factors of society, rather than guarantee truth by specifing specific events or facts for social or historical understanding. The ritual of Kim Jong-sam’s space can be summariz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a poetic space about fear of division and death. Second, as opposed to real space, a poem which realize an ideal space by drawing sacred space like a monastery and chapel. Third, a poem that depicts the absence of an inherent sense of identity in a deficiency combined with a ‘frontier consciousness’ or ‘marginal consciousness’ such as poverty and isolation. Fourth, a poem which transmute a space of peace into a space of possibility at the subject’s inside considering with blocking space that excluded in space of others. Kim jong-sam recognized the space where he live as ‘a space of misery’ and hoped that real space would be a ‘good space’. The space that he constructed is a space which fulfilled with human love, feeling and spirit. and also he expected to spreading a origin of human na- ture in the space which is making a social origin, with honest poetic achievement. Kim jong-sam made the world worth living in through the rebuilt human living space. This space was the sacred space which from Kim jong-sam’s own nature.

1. 서론
2. 주체와 대상의 해체와 자아의 해방
3. 이미지의 화학적 융합과 존재의 변화
4. 생명의 우주적인 그물망 구조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