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02.239
3.144.102.239
close menu
KCI 등재
대화의 비유창성 현상 고찰 ─ 화제 상정 여부와 관계 수준의 정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henomena of Conversation Disfluency ─ Focusing on Topic Introduction Status and Degree of Relationship
서종훈 ( Suh Jonghoon )
UCI I410-ECN-0102-2019-700-001659936

본고는 대화에서 친교 관계와 화제 유무에 따른 대화 비유창성을 현상을 고찰하였다. 두 가지 연구가설을 상정하고 대화에 드러나는 다양한 비유창성 현상을 수집된 대화 말뭉치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에서는 친교 관계가 형성되지 않았거나 화제가 상정되지 않은 대화가 반드시 비유창한 현상을 더 발생시키는 것으로 드러나지는 않았다. 이는 말하기에서 비유창성이라는 현상이 몇몇 말하기의 전개 단서나 기제에 얽매여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말해주는 것이다. 구체적인 조사 결과에서 ‘쉼’의 경우는 친교 관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집단에서 그 수치가 유의미하게 나왔다. 아울러 삽입이나 반복 등의 실사 중심의 비유창성의 경우는 화제를 상정한 집단의 대화에서 그 수치가 높게 나왔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비유창성의 빈도수는 가설에서 상정한 내용과는 다르게 친교 관계의 수준이 높거나 화제를 상정한 집단의 대화에서 높게 나와 대화에서의 비유창성 발생은 혼자 말하기에서의 비유창성과는 다른 측면을 보여주었다. 본고는 대화 담화를 중심으로 비유창성의 발생과 유형을 검토한 논의가 부족한 상황에서 소규모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비유창성을 현상을 논의하였다. 아울러 대화에서 비유창성 발생은 다양한 맥락에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본고에서는 대화 참여자들의 친교 관계와 대화 화제를 중심으로만 그것의 발생 빈도와 유형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를 남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henomenon of conversational disfluency from the viewpoint of friendship and topics. Two research hypotheses were proposed, and various disfluency phenomena occurring in conversation were examined through a collected corpus conversation. The results did not reveal that conversations between people who were not friends or conversations that were not talked about necessarily led to disfluency.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phenomenon of disfluency does not arise from the tacit knowledge of some speech information. In this survey’s results, a ‘pause’ held a significant value in the group in which no friendship relationship had been form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tents-centered words disfluency such as insertion or repetition, the number of occurrences was high in the conversation of the group that had assumed a specific topic. However, in general, the frequency of disfluency is higher than hypothesized when the level of friendship is high, or conversation is high in conversation group, and the occurrence of disfluency in conversation differs from that which occurs speaking alone. This paper discussed the phenomenon of disfluency focusing on small conversational corpus in the context of lack of discussion on the occurrence and type of non - In addition, although the occurrence of disfluency in a conversation is influenced by various contexts, this study faces certain limitations in that it examines the frequency and type of its occurrence mainly in the communicative situation and conversation of the participants.

I. 문제제기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및 연구가설
IV. 연구결과 및 교육적 의의
V. 마무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