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71.12
18.223.171.12
close menu
KCI 등재
내용 조직 과제에 대한 수사구조이론(RST) 기반 채점 결과 분석 ─ 진단 도구 정교화를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Rhetorical Structure Theory Based Scoring Results for the Text Organizing Task ─ Focusing on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Diagnostic Tool
이선영 ( Lee Sunyoung ) , 박재현 ( Park Jaehyun ) , 윤신원 ( Yoon Shinwon ) , 정민주 ( Chung Minju ) , 박종훈 ( Park Jonghoon )
UCI I410-ECN-0102-2019-700-001659961

본 연구에서는 수사구조이론(RST) 기반 내용 조직 능력 진단 도구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문장 배열 과제 수행 결과에 대해 자동 채점을 실시하고, 그 채점 결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친 진단 도구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이 제시된 문항의 점수가 그렇지 않은 문항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내용 구획 영역과 내용 배열 영역 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았으며, 하위 집단 학생들은 내용 배열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미관계의 수와 의미관계 유형의 수가 많아질수록 점수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의미관계 유형이 가장 다양한 문항의 경우, 유형 간의 점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내용 조직 능력 진단 도구를 정교화할 때 문항 형태, 분포, 가중치 설정 등을 결정할 때 중요한 시사점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current study uses a Rhetorical Structure Theory (RST) diagnostic tool on text organizing ability to automatically grade the results of sentence- arranging tasks perform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further analyzes the results to identify the factors of the diagnostic tool that were affected. Ou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the items with nuclei were higher than those with no nuclei.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content classifying and content sequencing areas was quite high, and students with low scores were found to have relatively more difficulty with content sequencing. Third, the higher the number of relations and relation types, the lower the score, and for items with the most diverse relation types, the scores between the relation types were very large. These analysis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improving diagnostic tools on text organizing ability.

I. 서론
II. 자료 수집 방법 및 과정
III. 분석 결과
IV. III 제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