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144.32
18.217.144.32
close menu
KCI 등재
도심 대형사찰 한마음선원에서의 종교적 실천과 젠더
The Religious Practices of Buddhists at Hamaum Seon Center, a Urban Mega Temple, and Gender
박소진 ( Park So-jin )
DOI 10.17207/jstc.2018.9.21.3.135
UCI I410-ECN-0102-2021-300-000387461

이 연구는 생활수행을 강조하는 도심 대형 사찰인 한마음선원 남녀 불교인들의 종교적 실천을 살펴보고, 그것이 젠더(gender) 이슈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이 논문은 첫째, 남녀 불교인의 다양한 종교적 실천의 양상이 젠더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그 맥락으로서 비구니 선사를 수장으로 설립된 한마음선원의 특수성과 설립자 대행선사의 젠더 관련 법문을 살펴보았다. 둘째, 신도들의 다양한 종교적 실천의 집단적 양상과 여기에 나타나는 성별화된(gendered) 특징을 ‘시간성’과 ‘공간성’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셋째, 개인의 종교적 실천과 젠더 문제와 관련된 특징을 남녀 불교인들의 신행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이들이 서로의 종교적 실천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불교인들의 종교적 실천에 관한 경험적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문헌조사뿐 아니라 참여관찰 등 문화기술지적 연구를 보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경험적 연구를 축적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불교와 여성주의의 관계, 또는 젠더와 종교적 실천의 관계에 주목하여 학제간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특히 불교는 원리적으로는 남녀가 평등하다고 주장하지만, 현실 제도불교 속에서는 다른 종교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가부장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이원화된 원리가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이 더욱 필요하다. 또한 이 연구는 실천과 무관하게 교리나 가르침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아니라, 불교인들의 종교적인 실천에 주목하여 ‘머릿 속 불교’가 아닌, 현상으로 드러나는 불교적 실천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불교인의 생활 속에서 종교의 중요성이 크지 않고 불교인은 종교의례에 소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선입견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타 종교인의 불교에 대한 이해를 도와, 종교간 갈등을 줄이고 종교간 화합의 길로 갈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한마음선원 신도들의 환경운동 등 사회참여적인 종교적 실천을 다각적으로 담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gendered religious practices of male and female Buddhists at Hamaum Seon Center, a urban mega Buddhist temple, which is located in Anyang, South Korea. First, it examines the specificities of Hanmaum Seon Center, which was established by Seon Master Daehaeng, Bhikkuni (a female Buddhist monk) and has been developed beyond Bhikkuni-Bhikku temple dichotomy. It also explores gender-related aspects in what Seon Master Daehaeng said to her devotees. Second, this study focuses on the collective religious practices of male and female Buddhists and its gendered aspects, while concentrating on ‘temporality’ and ‘spaciality.’ Third, it explores the individual religious practices and its gendered aspects, while focusing on their motivation of religious practices and their difficulties and agony in their live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empirical research area on contemporary Buddhists, while making up its lack. It tries to embrace the diverse inter-disiplinary works, while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feminism, between gender and religious practices (or religious identity construction). Especially, it is important because Buddhist principles argues the gender equality, but the reality of Korean Buddhism is working on a patriarchal and male-dominated dichotomy.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goes beyond the studies of Buddhist doctrines and teachings, by exploring the Buddhist practices. This study suggests the specificities of Buddhist practices, while rethinking the recent statistic research results on diverse religious practices, which evaluate that the importances of their religions is week for Buddhists and they are very passive to participate in religious rituals. Furthermore, this study can help the people of other religions understand Buddhism and Buddhist practices, diminish the religious conflicts, and acknowledge for different religions and religious people. However, it cannot explore the diverse social participatory religious practices, at Hanmaum Seon Center, such as ones for environmental movement campaign.

I. 들어가는 말
II. 연구배경 및 연구방법
III. 성별화된 종교적 실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