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22.244
18.222.22.244
close menu
KCI 등재
『춘향전』의 프랑스 역본 『향기로운 봄』의 문화적 의의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French Translation of Chunhyangjeon, Printemps parfume
송태현 ( Song Tae-hyeon )
DOI 10.33078/COWOL64.01
UCI I410-ECN-0102-2019-800-001773598

19세기 말에 『춘향전』이 『향기로운 봄(Printemps parfume)』(1892)이란 제목으로 프랑스어로 번역 출간된 사건은 한국과 프랑스의 문화교류에서 매우 의미 있는 사건이다. 이는 프랑스 작가인 로니(J.-H. Rosny)와 “유럽에 온 최초의 한국인”인 홍종우가 프랑스 파리에서 공동으로 작업하여 한국 문학을 유럽 최초로 번역 출간한 사건이기 때문이다. 『향기로운 봄』은 『춘향전』 줄거리의 기본 구도를 따르되, 원전을 매우 자유롭게 번역한 작품으로서, 이는 번역이라기보다는 번안 혹은 재창작에 더 가까운 작품이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로니와 홍종우의 자유로운 번안 혹은 재창작이 지니는 문화사적 의의를 탐색하고자 한다. 필자는 이 연구를 통해 『향기로운 봄』의 공동 번역자들이 재창작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겨냥한 바가 상호문화 정신에 토대를 둔 프랑스와 한국의 문화교류의 추구이며, 프랑스와 한국사이의 문화적 가교를 놓는 일임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한국이 미개한 나라, 한국인이 야만인이라는 이미지를 벗겨내고 한국이 문명을 지닌 나라이며 한국인이 훌륭한 문화 전통을 간직한 민족임을 보여주기 위해 『향기로운 봄』의 역자가 선택한 재창작적 요소의 핵심은 한국에서 구현된 공자(나아가 유교) 사상의 실천이다. 『향기로운 봄』의 역자는 이 작품에서 공자 혹은 유교 사상의 위대함을 드러냄으로써 프랑스가 제국주의적 교만 속에서 조선인을 야만인으로 보지 않게 만들고 또한 조선 문화를 수준 높은 문화로 인식시킴으로써 ‘문명화의 사명’이라는 허울 좋은 명분 속에 빠지지 않기를 소망했다. 『향기로운 봄』의 역자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바는 한국과 동아시아는 서구의 문화를 받아들여 자신들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또한 프랑스를 비롯한 서구도 한국 혹은 동아시아 문화의 장점을 받아들임으로써 상호간에 ‘평화로운 화합’을 이룩하는 것이다.

The fact that Chunhyangjeon was translated into French under the title Printemps Parfume(1892) in the late 19th century is a very meaningful event in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France. This is because French writer J.-H. Rosny and Hong Jong-ou, the first Korean to come to Europe, collaborated in Paris and published their first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Europe. Printemps Parfume follows the basic structure of Chunhyangjeon's story, but it is a very free translation of the original, which is closer to adaptation or rewriting than translation. In this paper, I explore the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J.-H. Rosny and Hong Jong-ou's re-creation of work.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o-translators of Printemps Parfume ultimately aimed at pursuing cultural exchanges between France and Korea based on the spirit of “interculture”, and establishing cultural ties between France and Korea. Translators shed the image of Korea as an uncivilized country, Korean people as semi-barbarian people, and show that Korea is a country of civilization and a nation of great cultural traditions. The core element of the re-creative element chosen by the translators of Printemps Parfume is the practice of Confucius thought implemented in Korea. The translators of Printemps Parfume revealed the greatness of Confucius or Confucianism in this work, making the French not to regard the Joseon people as barbarians in imperialistic pride, and recognizing Joseon culture as a high quality culture. Translators hoped the French would not fall into the hollow "civilizing mission". What the translators of Printemps Parfume ultimately seeks is for France to embrace Korean or East Asian culture to compensate for their deficiencies and to achieve "peaceful harmony" with each other, including Korea and East Asia, by accepting the merits of Western culture.

I. 서론
II. 『향기로운 봄』의 형성 과정
III. 『향기로운 봄』 재창작의 문화적 의의
IV.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