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41.202
3.138.141.202
close menu
KCI 등재
조선 후기 동강 유역 경관의 재발견과 영월 심상지리의 확장
Rediscovery of Scenic Views of Donggang Basin and Extension of Yeongwol Imaginative Geography in Late Joseon
이태희 ( Lee Taehee )
국제어문 78권 7-30(24pages)
DOI 10.31147/IALL.78.1
UCI I410-ECN-0102-2019-800-001646314

영월의 심상지리는 ‘단종애사(端宗哀史)’에서 비롯된 비애(悲哀)의 감정이 대표한다. 그것은 단종이 유배되어 온 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함없다. 한편, 조선 후기에 동강 유역 승경이 유람지로서 널리 알려진 뒤에 영월의 심상지리가 확장되었다. 동강의 승경으로서 중시되었던 곳은 어라연(於羅淵)과 자연암(紫煙巖)이다. 어라연은 『동국여지승람』에 그 위치와 관련 전설이 등재되어 있을 정도로 이른 시기부터 알려졌으나 그 뒤로 오랫동안 기록으로 남겨진 것이 없고, 자연암에 관한 기록은 1688년에 김창흡(金昌翕)이 유람하고 남긴 시와 산문이 처음이다. 동강의 경관은 이때부터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1736년에 영월 부사 이명곤(李明坤)이 어라연에 누정을 짓고 이광정(李光庭)에게 부탁하여 주요 경물에 이름을 짓는 등, 어라연의 경관을 정비하였다. 이후 동강의 승경을 찾아 유람하는 이들이 늘어났고, 어라연의 아름다움은 현재까지도 잘 알려져 있다. 어라연과 자연암을 묘사한 글을 보면, 그 탈속적인 분위기와 기묘한 형상이 부각되어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유묘가려(幽眇佳麗)’, 즉 ‘고요하고 기묘하면서 아름답다’라는 말로 규정되었다. ‘유(幽)’는 쓸쓸함과 고요함이라는 양면성을 동시에 갖고 있다. 이러한 양면성은 영월 지리의 특성에서 기인한 것이다. 동강의 심상지리는 그 중에서 고요함이 부각되었고, 단종에 관한 비애의 심상지리에서는 쓸쓸함이 부각되었다. 조선후기에 동강 유역 경관이 재발견된 일은 영월의 자연지리가 갖고 있는 양면성 중에서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은 측면을 부각시켜 영월의 심상지리를 확장시켰다.

Yeongwol’s imaginative geography is represented by the tragic emotion(悲哀) in the tragedy of King DanJong(端宗哀史)’. It does not change from the time of Danjong’s exile until the present. Meanwhile,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Yeongwol was expanded after the scenic landscape of Donggang basin was widely known as a sightseeing place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scenic landscapes of Donggang were Eorayeon(於羅淵) and Jayeonam(紫煙巖), and the scenic views of Eorayeon were highly acclaimed. Eorayeon was known from the early days of its location and related legends in the “Tongguk yojisungnam(東國輿地勝覽)”, but there is nothing left behind for a long time, and the first records about Jayeonam are the poem and prose that he left after Kim Chang-heup(金昌翕) completed sightseeing in 1688. The scenic views of Donggang began to be known from this time on. In 1736, Yeongwol Busa, Lee Myung-gon (李明坤) built a Pavilion in Eorayeon, and as he asked Lee Gwang-jeong (李光庭) to name the major scenic objects, and so on, and he improved the scenic views of Eorayeon. Since then, more and more people have searched for scenic landscapes in Donggang, and the beauty of Eorayeon is well known to this day. In the writings of depicting Eorayeon and Jayeonam, the degenerate atmosphere and strange shape are highlighted. These images are defined as ‘Yumyogaryeo(幽眇佳麗)’, or ‘isolated and unusual, but beautiful’. ‘Yu (幽)’ has both sides of loneliness and isolation at the same time. This duality of ambilaterality is due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Yeongwol. In Donggang’s imaginative geography, of them, isolation is highlighted, and in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Danjong, the dreary isolation was highlighted. The rediscovery of the Donggang basin scenic views in the late Joseon period expands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Yeongwol by highlighting the less well known aspects of Yeongwol’s natural geography.

1. 단종의 고장, 영월
2. 동강 유역의 승경, 어라연과 자연암
3. 동강 유람과 승경의 재발견
4. 경관의 평가와 ‘유묘가려(幽眇佳麗)’의 이미지
5. ‘유(幽)’의 양면성과 영월 심상지리의 확장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