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31.168
3.133.131.168
close menu
KCI 등재
영월 지역 민요의 다양한 소통 방식 - 단종애사를 중심으로 -
Various Mutual Understanding Method of the Folksongs in Yeongweol Region - Centering on King Danjong’s Sad History -
박선애 ( Park Seon-ae )
국제어문 78권 31-57(27pages)
DOI 10.31147/IALL.78.2
UCI I410-ECN-0102-2019-800-001646465

이 연구는 영월 지역 민요를 대상으로 단종애사(단종의 슬픈 이야기)의 공간적 배경인 영월을 인문학적으로 접근하여 단종의 다양한 소통 방식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영월 지역 민요에서 단종은 유배지인 영월에서 다양한 채널을 통하여 끊임없이 외부 세계와의 소통을 시도했다. 강으로 둘러싸여 마치 섬과 같은 청령포에서는 ‘돌’, ‘소나무’, ‘편지’를 통하여, 그리고 영월의 관풍헌에서는 ‘자규’를 통하여 자신의 처지를 나타내고 있다. 즉 단종은 ‘돌’로 망향탑을 쌓음으로써, ‘소나무(관음송)’에 올라 앉아 오열을 함으로써, ‘편지’를 써서 강물에 띄움으로써, 그리고 ‘자규’를 매개로 시(詩)를 지음으로써 고립된 자신의 상황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던 것이다. 영월 지역은 ‘닫힘’과 ‘열림’의 양면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 첩첩산중에 자리하고 있는 영월은 백운산(白雲山), 두위봉(斗圍峰), 태화산(太華山) 등 해발 1,000m 이상 되는 고산준령이 병풍처럼 둘러서 있다. 이러한 영월은 외부와의 소통이 용이하지 않은 ‘닫힌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영월에는 단종의 유적으로 인하여 관광객이 줄을 잇고 있다. 그리고 청령포 역시 최근 배로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월 관광객의 필수적인 코스로서 ‘열린 공간’의 성격을 띤다. 영월 지역 민요에서 단종에 대한 이야기는 단종의 유배지인 ‘영월’과 ‘청령포’라는 물리적 공간(폐쇄성 혹은 고립성)과 더불어 민중이 중심이 된 기층민의 장르인 민요에 수용되어 전승되었다는 점에서 이미 개방성(소통성)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단종의 역사적 맥락을 고스란히 지역 민요에 수용한 측면에 주목하여 그간 특정 계층에 한정되어 다루어졌던 민요의 속성(개방성-소통성)에 대한 포용성 및 민요 장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pproached humanistically Yeongweol that is the spatial background of the king Danjong’s sad history with Yeongweol region folksongs as objects, and discussed king Danjong’s various mutual understanding method. King Danjong continually attempted mutual understanding with outer world through various channels at his place of exile Yeongweol. At island-like Cheongnyeongpo surrounded by the river, through ‘stone’ ‘pine tree’ and ‘letter’, and at Gwanpungheon through ‘cuckoo’, he is representing his sad plight. Like this he tried continually to mutually understand the outer world, employing natural things of ‘stone’ ‘pine tree’ ‘river water(letter)’ and ‘cuckoo’. Yeongweol has double-sided attributes of ‘closedness’ and ‘openness’. Yeongweol is located deep in the mountains and is surrounded like folding screen by Baekun-mountain, Duwi-peak and Taehwa-mountain all of which are more than 1,000m above the sea. So Yeongweol can be said to be a’closed space’ where mutual understanding with the outer world is not easy. And the story of king Daqnjong can be said to already have openness(mutual understanding) in that it is accommodated and transmitted in the folksong which is a genre of basic people class. It has the physical space(closedness and isolation) of ‘Yeongweol’ and ‘Cheongnyeongpo’. This research may have a meaning in that it discussed double-sidedness of the closed and the open space, humanistically approaching Yeongweol which is the spatial background of king Danjong’s sad history, with Yeongweol region folksongs as objects.

1. 머리말
2. 인문 공간으로서의 영월
3. 닫힘과 열림의 양면성
4.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