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41.6
3.133.141.6
close menu
KCI 등재
지역원형으로서의 강원도와 이효석의 지리의식 연구 - 이효석 수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Geographical Consciousness of Gangwon Province and Lee Hyoseok - Focusing on Lee Hyo-seok Essay -
이미정 ( Lee Mijung )
국제어문 78권 59-92(34pages)
DOI 10.31147/IALL.78.3
UCI I410-ECN-0102-2019-800-001646298

본 논문은 지역원형으로서의 강원도 지역 담론과 이효석이 바라보는 지리적 인식의 연관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식민지 경험은 ‘조선적인 것’에 대한 발견을 가져왔으며, 제국의 시선에서 식민지 조선은 변방으로 그려졌다. 농촌과 도시는 이항 대립의 관계였고 특히 강원도는 도시문명과 단절된 미지의 공간으로 부각되는 대표적 공간이었다. 강원도 지역은 아름다움, 순박함, 경외함, 두려움, 민족 정체성 등 다양한 상징적 표상으로 묘사되었다. 이 모든 수식은 강원도를 타자화하는 다양한 관점들로 중앙과 변방이라는 이분법을 근간으로 복잡하게 형성되는 인문 지리적 공간이었다. 이효석의 바라보는 강원도의 지리 인식 역시 중앙과 변방이라는 이분법을 통해 해석된다. 그는 욕망의 대상으로서 서구적 아름다움을 지향했으며, 수필에 그려지는 자연은 인공적이고 조화를 중시하는 고전적 아름다움을 추구했다. 이효석의 고향은 자연의 아름다움으로 표현되는 공간으로 낭만적 세계관의 매개물에 불과했다. 이효석이 그리는 강원도 공간은 이국적이고 낯선 공간이라는 점에서 식민지 농촌 담론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목가적인 풍경으로서 조화와 질서의 자연을 사랑했던 이효석에게 고향은 부정되어야 할 대상이거나 변모되어야 할 대상이었으며, 이와 같은 세계관을 통해 강원도에 대한 기억을 변주해 나갔다.

This paper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ical cognition and Lee Hyosuk’s discourse in Gangwon province. The colonial experience gave the meaning of ‘Chosun’. The colonial Joseon dynasty was drawn on the edge. Rural areas and cities were related to each other. Especially, Gangwon - do was a typical space with urban civilization. The Gangwon-do region is described by various symbolic representations such as beauty, innocence, awe, fear, and national identity. All of these formulas are various aspects of Gangwon Province. The recognition of geography in Gangwon-do by Lee Hyoseok is also interpreted through the dichotom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In his essay, he aimed for Western beauty as a subject of desire. He described the beauty of artificial, harmonious nature. Lee Hyoseok‘s hometown is a space expressed by the beauty of nature and a medium of romantic world view. The space of Gangwon-do that Lee Hyoseok draws is the same as the rural discourse of that era. Lee thought of his hometown as an object to be denied, and changed it to fit his own worldview.

1. 서론
2. 지역원형으로서 강원도 담론
3 이효석의 강원도 지리의식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