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205.146
3.135.205.146
close menu
KCI 등재
1950년대 전쟁기 부산·대구의 피난지 문화
Evacuation culture of Busan and Daegu of Korean War period in the 1950’s
최애순 ( Choi Ae-soon )
국제어문 78권 93-128(36pages)
DOI 10.31147/IALL.78.4
UCI I410-ECN-0102-2019-800-001646814

1950년대 전쟁기에 관한 연구는 대구, 부산으로 간 서울 문인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이들 문인들의 작품들은 주로 『전선문학』이나 『신천지』, 『문예』와 같은 정부기관 발행잡지나 문예 잡지에 실렸다. 서울로부터 부산, 대구로 피난 간 문인들에게 부산과 대구는 전쟁으로부터 안전한 후방이기도 했지만, 생존에 부대껴야 하는 고단한 피난지이기도 했다. 더불어서 부산과 대구는 머무는 공간이 아닌 서울로 가기 위한 여정으로서의 공간이었다. 1950년대 전쟁기 연구는 서울 문인들의 눈으로 본 부산과 대구의 모습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래서 당시 작품들을 살펴보면, 구체적인 지명이나 배경보다는 부산, 혹은 대구로 뭉뚱그려서 그리고 있는 것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다. 최근 들어서서 지역문화가 활성화되고 지역문화의 복원사업이 간행되면서 구체적인 지명이나 거리가 중요하게 부각됨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관심을 두지 않았던 전쟁기 작품에 나타난 동네 지명에 초점을 맞추어서 당시의 공간을 되살려 보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는 전방과 후방의 이분법적 도식 구조로서의 부산과 대구 공간이 아니라 전쟁을 겪은 역사 속의 피난지 공간을 재현하는 것이기도 하면서, 서울의 대립항이 아니라 전쟁과 피난민의 삶을 견뎌 낸 그 시대 형성된 피난민촌, 지역 동네를 복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선문학』에 실린 작품과 다른 잡지에 실린 작품들을 함께 살펴보면서, 애국심과 전선으로 가기 위한 후방 공간으로 강조되던 지역 동네가 피난민촌을 형성했던 삶의 현장이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그런 면에서 군기관지인 『전선문학』과 일반 문예 잡지를 비교하여, 군기관지에서 전선으로 가기 위한 후방으로서의 공간이, 문예지에서 어떻게 고단한 피난지 삶의 현장으로 그려지는지 함께 비교하며 고찰해 보았다. 군기관지인 『전선문학』의 주요 배경은 해군 사령부가 있는 부산, 육군과 공군이 있는 대구, 그리고 전선과 후방을 연결해 주는 배 안 혹은 열차 안이 된다. 그래서 부산역과 대구역은 피난민 생활의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 삶의 터전도 역을 중심으로 잡고 생활도 그 언저리에서 이루어진다. 당시 피난민 생활 터전을 살펴보면, 부산역 근처를 중심으로 초량, 남포동, 국제시장이, 대구역 근처를 중심으로 동인동, 방천, 중앙통, 양키시장 등이 배경으로 종종 등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The study of the war period of the 1950’s has been centered on the works of writers of Seoul who went to Daegu and Busan. The works of these writers were mainly published in government-run magazines and literary magazines such as “Frontline Literature”, “Shinchonji” and “Literature”. Busan and Daegu were safe havens for warriors who evacuated from Seoul to Busan and Daegu, but they were also a great refuge for survival. In addition, Busan and Daegu were not a place to stay but a space to go to Seoul. The 1950s war studies focused on the pictures of Busan and Daegu seen by the eyes of Seoul writers. So, when you look at the works at that time, you can see that most of them are in Busan or Daegu rather than specific names or backgrounds. As the local culture has been revitalized and the restoration project of local culture has been published recently, the specific place and distance have been emphasized. In this paper, we tried to revive the space of the time by focusing on the neighborhood designation which appeared in the war period works. In this paper, not only Busan and Daegu as front and rear dichotomous schemes, but also the refuge space in history that experienced war, it is not the confrontation of Seoul but the battlefield and the refugee life, The purpose of restoring the local community is to look at the works in the “Frontline Literature” and the works in other magazines, and to see the area of life where the local neighborhood, which was emphasized as the back space for patriotism and frontline, I wanted to show that it was. In this respect, I compared the “military literature”, which is a military paper, with general literary magazines, and examined how the space as a rear space for moving from a military institution to a frontier is portrayed as a scene of life in a refuge. The main background of the military literature, “Frontline Literature”, is the Busan with the Navy Command, Daegu with the Army and Air Force, and the ship or train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o the Busan Station and the Daegue Station are the centers of refugees’ lives. The center of life is also centered on the station and life is done on the edge of it. At that time, it can be seen that Dongin-dong, Bangchon, Chungangtong, and Yankee mayor are appearing in the background mainly in the vicinity of Daegue Station. We can see that the residents of refugees living around the Busan Station are mostly in the background of the Choryang, Nampo - dong, the international market.

1. 서론
2. 『전선문학』에서의 부산, 대구의 공간- 전선과 대립되는 후방으로서의 공간
3. 제 2수도 부산의 피난문단 및 피난민 생활- 김동리의 「밀다원 시대」와 「실존무」
4. 전쟁기 대구의 문화극장과 중앙통, 피난민촌 동인동의 대비- 장덕조와 최인욱
5. 피난민의 생존문제와 원주민과의 갈등- 황순원의 「곡예사」와 「어둠 속에 찍힌 판화」
6. 결론: 전쟁 이후의 피난민촌과 지역동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