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40.108
18.118.140.108
close menu
KCI 등재
‘다르다’와 ‘틀리다’의 두 가지 관점
Two perspectives on ‘teulida’ and ‘dareuda’
정희창 ( Jeong Hui Chang )
국제어문 78권 153-169(17pages)
DOI 10.31147/IALL.78.6
UCI I410-ECN-0102-2019-800-001646985

‘틀리다’와 ‘다르다’는 품사와 의미에서 서로 차이가 있지만 언어 현실에서는 동사 ‘틀리다’를 형용사 ‘다르다’의 자리에 쓰는 일이 적지 않다. 이는 역사적으로 ‘틀리다’가 ‘차이가 난다’는 의미로 활발하게 쓰였다는 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틀리다’에 ‘다르다’는 의미가 들어 있다는 것은 19세기 초의 자료 역사적 자료 외에도 ‘틀부다’와 같은 혼효형의 존재를 들 수 있다. 남부 방언의 ‘틀부다’는 ‘틀리다’와 ‘달부다(다르다)’의 혼효형으로 이러한 단어의 형성은 ‘넙다’와 ‘너르다’에서 ‘넓다’가 형성되었듯이 두 말의 의미가 중첩되어 있다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teulida(wrong)’ and ‘dareuda(differe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parts of speech. However, it is not uncommon to write ‘teulida’ instead of ‘dareuda’ in these grammatical differences. This phenomenon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eulida’ means ‘difference’. The similarity between ‘teulida’ and ‘dareuda’ can be confirmed in the southern dialect, which shows the form of ‘teubuda’. The existence of ‘teubuda’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meaning of ‘teulida’ and ‘dareuda’ is duplicated, as ‘neopda’ and ‘neoreuda’ have the same meaning. On the other hand, ‘teulida’ means that the speaker is more involved than ‘dareuda’.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ing of ‘naneun neowa teulia(I am wrong with you)’ and ‘naneun neowa dareuda(I am different from you)’ can be explained from this point of view.

1. 문제 제기
2. 규범 문법적 관점
3. 기술 문법적 관점
4.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