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70.203
3.14.70.203
close menu
KCI 등재
천문(天文)·인문(人文)의 관계를 통한 <소대성전>과 <용문전>의 선·악 비교 - 선·악 집단의 특징과 판단 기준의 비교를 중심으로 -
Comparison Virtue with Vice in < Sodaesung-Jeon > and < Yongmoon-Jeon > through the Relations Astronomy between Humanities - focused on comparing the standard of judgem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od and evil people -
김용기 ( Kim Yong Ki )
국제어문 78권 173-196(24pages)
DOI 10.31147/IALL.78.7
UCI I410-ECN-0102-2019-800-001646283

이 글은 <소대성전>과 <용문전>에 나타난 선·악 집단의 특징을 비교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필자는 권선징악을 고소설 창작 이론으로 적용 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그리고 권선징악을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 근거로 천문과 인문의 조화 여부를 제시하였다. 天文은 ‘하늘의 무늬(질서)’로 볼 수 있고, 人文은 ‘인간의 무늬(질서)’로 볼 수 있다. 천문과 인문이 잘 조화되면 善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천문과 인문이 부조화를 이루면 악한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를 <소대성전>과 <용문전>에 적용해 보았다. <소대성전>과 <용문전> 두 작품은 모두 일반 고소설에서 발견되는 권선징악적 차원의 선과 악의 구분이 어려운 작품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을 읽은 독자는 소대성과 그가 수호하려는 明나라를 善의 집단으로, 이와 적대적인 관계에 있는 호국왕과 오랑캐들을 惡의 집단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 이유는 천상계, 초월계, 인간계가 모두 소대성을 중심으로 한 明을 지지하고 있고, 반동 인물로 등장하는 호국왕과 오랑캐에게는 그러한 지지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곧 두 작품의 향유 집단이 중원 중심의 天文과 人文의 조화를 이루는가 그렇지 않은가를 주된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자신들과 같은 가치를 공유하는 집단을 善의 집단으로 상정해 놓고 그 반대에 있는 집단을 惡의 집단으로 규정하였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on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the good with the evil in < Sodaesung-Jeon > and < Yongmoon-Jeon >. For this, the writer builds up the hypothesis of that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can apply to the theory of creating the old novels. The balance of astronomy and humanities was suggested as the grounds of judging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Astronomy can be considered as the order of heaven and humanities can apply to the order of human. The good means the status balanced astronomy and humanities, while it is the evil status when they are not in harmony. It was applied to < Sodaesung-Jeon > and < Yongmoon-Jeon >. These two works are hard to classify the good and evil with the standard of didactic morality like the other general old novels. Nonetheless, the readers consider Sodaesung and Ming as the good. They consider the barbarian country’s king and barbarians as the group of evil. The reason is that the heavenly, transcendental and human world support Sodaesung and Ming and hold no brief of the barbarian king and barbarians. It is the reason why two works are based on the standard of balance astronomy and humanities. Because they define the group possessing the same worth as the good, the opposite group are considered as the evil.

1. 서론
2. 고소설 창작이론으로서의 勸善懲惡과 文學的 形象化
3. <소대성전>의 勸善懲惡과 天文·人文
4. <용문전>의 勸善懲惡과 天文·人文의 관계 강화
5. 天文·人文의 融合性에 의한 善·惡 집단 판단
6.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