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9.14.219
18.189.14.219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기숙사 거주 EBD 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life Stress and Depression: Focused on the EBD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the Dormitory
김성범 ( Kim Sung-bum )
DOI 10.23944/Jsers.2018.09.57.3.2
UCI I410-ECN-0102-2019-300-001180430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숙사 거주 EBD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지역 C대학의 기숙사 거주 대학생 282명이며, 참여한 대학생의 심리적 변화를 살피기 위해 생활스트레스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우울 척도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관련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생활스트레스를 독립변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우울을 종속변인으로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자료분석은 상관분석과 soble test, 구조방정식 모델 접근법을 통해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숙사 거주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사회적 지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기숙사 거주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생활스트레스와 관련된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고, 안정감있게 유지시킬 수 있는 대학내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그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EBD students living in dormitor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2 college students living in dormitories in ‘C’ university located in ‘K’ City.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scale were used as research tool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changes of participating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relevant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by setting life stress as an independent variable,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and depression as a dependent variabl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soble 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ife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in college students living in dormitories. Second,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life stress and depression of dormitory resident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dentified social support was suggested 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a system in the university which can provide the social support for the depressive related to the life stress and to keep it stabl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