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239.195
18.116.239.195
close menu
KCI 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내용 분석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early childhood inclusive education in curriculums of kindergartens
서보순 ( Seo Bo-soon )
DOI 10.23944/Jsers.2018.09.57.3.6
UCI I410-ECN-0102-2019-300-001180258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언어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통합교육 현장에서 의미 있게 다루어지는 주요 단어와 단어 간 구조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7개 대도시에서 통합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164개 교육기관의 유치원 수준교육과정에 제시된 통합교육 관련 내용을 UCINET 6.0 프로그램으로 네트워크 분석하고, NetDraw로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장애유아 통합교육 관련 내용에는 ‘활동’, ‘지원’, ‘개별성’, ‘발달’, ‘또래’, ‘다양성’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로 포함되어 있었다. 둘째,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에서 장애유아 통합교육 언어 네트워크는 조밀하지 않고 넓게 분산된 형태를 나타내었다. 셋째, 연결중심성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연령’, ‘상호작용’, ‘통합학급’, ‘교육과정 수정’ 순으로, 매개중심성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연령’, ‘개별성’, ‘통합학급’, ‘상호작용’ 순으로, 위세중심성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교육과정 수정’, ‘통합학급’, ‘연령’, ‘지원인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협의회’, ‘교육과정 수정’, ‘지원인력’과 연결강도가 높았으며, ‘연령’은 ‘통합학급’, ‘일과’, ‘활동’과, ‘통합학급’은 ‘특수학급’, ‘연령’, ‘활동’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 현장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단어들을 통해 교육실행에서 강조되는 점들을 확인하는데 기여하고, 추후 연구 및 지원 정책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words that were meaningful in th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kindergarten-level curriculum. Curriculums of 164 kindergartens in 7 metropolitan cities, were network analyzed using UCINET 6.0 program and visualized with NetDraw.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words 'Activity', 'Support', 'Individuality', 'Development', 'Peer', and 'Diversity' frequently appeared. Second, the words were not dense but widely distributed networks. Third, the degree centrality were higher in order of 'Special education law for disabled persons', 'Age', 'Interaction', 'Inclusive class', and ‘Curriculum modification’, the betweeness centrality were higher 'Special education law for disabled persons', 'Age', ‘Individuality’, 'Inclusive class', and 'Interaction'. And the eigenvector centrality were higher in 'Related law', 'Curriculum modification', ‘Inclusive class', ’Age’, and ‘Support staff'. Fourth, 'Related law' had high connection strength with 'Consultation', 'Curriculum Modification', and 'Support staff'. 'Age' were strongly related to 'Inclusive class', ‘Daily schedule’, and 'Activity'. And 'Inclusive class' was strongly related to 'Special class', 'Age', and 'Activ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identify concepts that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support policie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